서울에서 쥐 때문에 접수되는 민원이 3년새 2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서울시 내 쥐 출몰·목격 민원은 9280건이었다.
연도별로는 2020년 1279건, 2021년 1043건, 2022년 1336건, 2023년 1886건, 2024년 2181건이다. 지난해 기준 2021년 대비 2.1배나 늘었다.
올해에도 지난 7월까지 1555건이 접수돼 증가세는 이어지고 있다. 자치구 중에서는 강남구, 마포구, 관악구에서 민원이 가장 많았다.
시장, 주택가, 하천, 공원 등 환경별 쥐 서식 밀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포획률을 기록한 곳은 하천이었다.
시는 최근 쥐 출몰·목격 증가가 폭염·폭우 등 기상 요인과 재개발·공사 등 환경 변화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고 보고 있다.
쥐의 주요 서식지인 하수도 및 지하 시설은 폭우 시 침수와 먹이 유실로 인해 쥐가 탈출하게 되고, 폭염 때는 도시열섬 효과로 온·습도가 상승해 쥐가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지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기후변화가 이제는 쥐 출몰 증가 등 새로운 양태로 국민의 일상을 침범하고 있다”며 “쥐는 렙토스피라증이나 신증후군출혈열과 같은 감염병의 매개체가 되므로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시환경 관리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