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캄보디아에서 고문당해 숨진 한국인 대학생 시신의 부검과 송환이 이른 시일 안에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최근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 범죄조직에 납치돼 피살된 사건과 관련한 논란이 국내에서 커지자 11일 보도설명 자료를 내고 그간의 경과를 설명했다. 외교부는 “주캄보디아대사관은 캄보디아 경찰 측으로부터 A씨의 사망 사실을 통보받은 직후부터 캄보디아 측에 신속한 수사와 용의자에 대한 엄중한 법적 조치를 요청했다”며 “국내 유가족과도 수시로 직접 소통하며 현지 수사 진행 상황과 부검 관련 절차를 안내하는 등 영사 조력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A씨의 시신 송환이 늦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부검과 국내 시신 운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캄보디아 측과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이어 “우리 경찰청 소속 부검의 참여 아래 현지 부검을 진행하기 위한 캄보디아 측 내부 절차가 지연되자 캄보디아 관계 당국에 공한을 발송하고 수차례 면담을 진행해 캄보디아 측의 적극적인 협조를 지속 요청했다”며 “캄보디아 측과의 각급 소통 시마다 우리 국민 사망에 대한 강력한 유감을 지속 표명하고 조속한 관련 절차의 진행을 요청해왔다”고 설명했다.
대학생 A씨는 캄보디아 깜폿주 보코산 지역에서 지난 8월 숨진 채 발견됐다. 캄보디아 현지 경찰은 A씨가 범죄조직의 고문에 따른 통증으로 심장마비가 발생해 사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캄보디아에서는 한국인 대상의 취업 사기와 감금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고수익 일자리가 있다는 말을 믿고 캄보디아로 향했다가 감금된 채 온라인 스캠 센터에서 노동을 강요당하는 식이다. 감금 사실을 신고하려 해도 그 절차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알려졌다.
감금 피해 상황에 대한 캄보디아 경찰 신고는 본인이 직접 해야 하며, 경찰 측은 신고자의 현재 위치와 연락처, 건물 사진(명칭, 동·호수), 여권 사본, 얼굴 사진, 본인 구조 요청 영상 등을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고 한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과거 제삼자가 신고해 출동해보니 정작 당사자들이 감금 사실을 부인하고 스캠센터 잔류를 희망하는 등의 사례가 지속 발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정부는 감금 상태에서 신고자가 캄보디아 당국의 요구 정보를 모두 제공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신원과 위치 정보만으로도 경찰이 출동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줄 것을 캄보디아 측에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외교부는 캄보디아의 온라인 스캠센터에서 자발적으로 일하는 한국인이 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취업 사기 피해자 외에도, 온라인 스캠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국내 가족에게는 비밀로 한 채 자발적으로 가담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외교부는 “구출된 후 대사관의 영사 조력을 거부하고, 한국 귀국 후 다시 캄보디아에 입국해 온라인 스캠센터로 복귀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며 “이러한 자발적 가담자들은 한국 일반 국민에 대한 잠재적인 보이스피싱 가해자로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외교부는 “정부는 범부처 차원에서 캄보디아 등 해외에 있는 온라인 스캠센터와 관련해 우리 국민에게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범죄자들도 처벌하는 노력을 적극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보기 위해서는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전날 오후 9시부로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 대한 여행경보를 기존 2단계 ‘여행자제’ 지역에서 ‘특별여행주의보’로 상향 조정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