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정부의 외교 기조에 우려를 표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을 공개했음에도 정부 대응이 없다고 지적한 것이다.
최은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11일 논평을 내고 “보통 이런 상황이라면 이른 아침부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개최 논의가 시작되고, 외교·안보 부처들이 분주히 움직이며 언론보도도 쏟아졌을 것”이라며 “그런데 토요일 아침의 대한민국은 놀라울 만큼 조용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 장면(화성-20형 공개)을 어떻게 지켜봤을지 궁금하다. 혹시 팝콘을 들고 ‘북한은 이런 건 참 잘한다, 좀 배워야겠다’고 말하며 가볍게 넘긴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한반도의 안보 상황이 엄중하다고 강조하며 “대한민국은 점점 더 국제적 고립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대미 관세 협상의 후폭풍이 외교·안보 분야로까지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언급하며 “결코 유럽의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고 했다. 북한이 러·우 전쟁에 직접 참전함으로써 전략무기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이로써 미국 도움 없이도 러시아 지원으로 버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됐기 때문이란 것이다.
최 수석대변인은 “이럴 때일수록 필요한 것은 전략적 침묵과 정교한 메시지 관리다. 그러나 대통령은 물론 국무총리와 대통령실 정책실장, 그리고 민주당 지도부까지 나서서 반미 프레임을 노골적으로 꺼내 들고 있다”며 “이는 한미동맹의 균열을 자초하는 무책임한 행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제 ‘동맹파’니 ‘자주파’니 하는 이념놀음식 소꿉장난은 멈춰야 한다. 한미동맹과 자주국방은 서로를 보완하는 두 축이지 결코 따로 국밥이 아니다”며 “국가가 국제정세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드는 지금, 필요한 것은 정치적 구호가 아니라 국가의 대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