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이 긴급 상황에서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데 평균 20초가 걸려 안드로이드폰보다 10배가량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과 소방당국 등 구조기관 초동 대응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애플은 경찰·소방 등 제3자 구조 요청에도 긴급 통화 종료 후 5분 동안만 제한적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실시간 제공은 하지 않는다.
애플은 또 국내 단말기처럼 기지국과 GPS, 와이파이 신호를 개별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이들 신호를 결합한 자체 복합 측위 방식 ‘HELO’를 통해서만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실시한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사전시험 결과 아이폰 응답시간은 평균 20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3사의 안드로이드폰 평균 응답시간인 기지국 1.3초, GPS 1.7초, 와이파이 2.4초 등과 비교하면 차이가 큰 셈이다.
애플 측은 여러 정보를 충분히 분석·계산해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애플은 제3자 긴급구조 요청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이 글로벌 정책을 비롯해 개인정보 보호, 단말기 보안성 측면에서 어렵다는 입장이다.
김 의원은 “국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선 긴급구조기관에 위치정보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긴급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구조를 위해 위치정보 제공 시간을 확대하고, 본인이 구조를 요청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해 제3자 구조 요청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