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야간근무 탓에… 부산 경찰 10명 중 8명 ‘건강 적신호’

입력 2025-10-09 15:51

지난해 부산 경찰관 가운데 특수건강검진을 받은 10명 중 8명이 ‘유소견’ 또는 ‘요관찰’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대·야간 근무 등 고위험 직무군을 중심으로 한 검사 결과로, 과중한 업무 환경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경찰관 특수 건강검진 수검 현황’ 자료에 따르면 부산경찰청 소속 특수 검진 대상자 5600명이 지난해 검진을 받았으며 이 중 1984명(35%)이 유소견자, 2535명(45%)이 요관찰자로 분류됐다. 두 그룹을 합치면 전체의 81%에 달한다.

‘유소견자’는 검진에서 질병 소견이 보여 야간작업 시 사후관리가 필요한 자를 뜻하며, ‘요관찰자’는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야간작업 시 추적 관찰이 필요한 자를 의미한다.

특수 건강검진은 야간·교대근무를 피할 수 없는 경찰관들의 건강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지난 2015년 처음 도입됐다. 대상은 순찰·형사·112상황실 등 교대 근무자와 폭발물처리(EOD), 과학수사 등 위험 직무 종사자 등으로, 전체 경찰 인원의 절반가량이 포함된다.

전국 평균(유소견자 28%, 요관찰자 47%)과 비교하면 부산은 유소견자 비율이 7%포인트 높아 대전(37%)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경찰관 10명 중 8명이 정기 관리가 필요하거나 질환 의심 군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장시간 근무와 스트레스가 누적된 현장 근무 환경이 반영된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전국적으로도 경찰의 건강 위험 징후는 뚜렷하다. 유소견자 비율은 2020년 20.5%에서 2024년 28.3%로 상승했고, 요관찰자 비율도 같은 기간 41%에서 47%로 늘었다.

사후 관리 현황을 보면 지난해 기준 전국 유소견자 2만1167명 가운데 1만5975명(75%)이 ‘근무 중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 요관찰자 중 7087명이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는 판정을 받아 경찰관 건강관리 체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한 의원은 “밤샘이나 야간 근무가 일상인 경찰관들은 타 직군에 비해 질병 발생 위험이 큰 만큼,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경찰청은 연간 수검자 수를 대폭 확대하고 검진 항목도 추가해 체계적인 직원 건강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