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후 하수관 79km 정비 착수…싱크홀 방지

입력 2025-10-09 13:40 수정 2025-10-09 15:09
지난 3월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발생한 싱크홀(지반 침하) 사고 현장의 모습. 이한형 기자

서울시가 싱크홀(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인 노후 하수관 정비에 본격 착수한다. 25개 자치구에 예산을 추가 배정해 긴급성이 인정되는 79㎞ 구간을 우선 정비한다.

시는 30년 이상 지난 하수관 등을 정밀 조사한 결과 124㎞ 구간을 긴급 정비해야 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고 9일 밝혔다. 우선 올해 1325억원을 투입해 79㎞(63.7%)를 정비한다. 예산은 시비 987억원과 국고보조금 338억원으로 구성된다. 전체 정비에 필요한 예산은 1860억원이다. 시는 미정비 구간 45㎞는 추가 예산을 확보하는 대로 정비할 방침이다.

서울의 하수관 노후도는 부산·대구 등 다른 6대 광역시보다 심각한 수준이다. 서울의 전체 하수관은 1만866㎞다. 이 가운데 20년 이상 된 하수관은 7182㎞로 66.1%를 차지한다. 반면 6대 광역시의 평균 하수관 길이는 5906㎞다. 이 중 20년 이상 하수관은 3320㎞로, 56.2% 규모다. 특히 30년 이상 노후관 150㎞가 서울에 매년 추가되지만, 실제 정비 물량은 100㎞에 그치는 실정이다.

문제는 노후 하수관이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는 점이다. 최근 5년간 서울에서 발생한 지반 침하 122건 중 하수관 손상에 의한 사고가 51건에 달했다. 시민 안전을 위해 노후 하수관을 선제적으로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시는 하수관 정비를 위해 국비 지원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서울만 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하수도 정비에 필요한 국비를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 이번 국고보조금 338억원은 서대문구 연희동, 강동구 명일동 지반 침하 사고로 이뤄진 한시적 지원금이다. 시는 국비 지원 기준을 재정자립도가 아닌 노후관 길이 등으로 변경할 것을 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한편, 시는 주요 도로와 지하 굴착 공사장 인근 5370㎞를 조사해 ‘지하 공동’ 436개를 발견했다. 이는 지난 1~7월 지표투과레이더(GPR)를 이용해 조사한 결과다. 지하 공동은 지표 하부에 생긴 빈 공간이다. 지하 공동이 커지면 지반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