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공직사회 ‘MZ 퇴사 막아라’ 안간힘

입력 2025-10-09 13:06 수정 2025-10-09 13:09
국민 AI 이미지

공무원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MZ세대(1980~2010년대 출생) 공직자들의 조기 퇴사 문제가 대구 공직사회에도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대구시와 기초단체 등은 젊은 인재를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해부터 저연차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장기재직휴가제’를 도입했다.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MZ세대 공무원의 이탈을 막는 것이 목적이다. 10년 이상 재직한 고참 공무원만 대상이었던 장기재직휴가 10일 부여를 조례를 개정해 근무한 지 5년 이상 10년 미만 저연차 공무원에게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대구시는 저연차 공무원을 위한 장기재직휴가 이외에도 점심 식사 위주의 회식문화 유도, 자유로운 연가·육아시간 사용 독려 등 MZ세대 공무원들을 붙잡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기초단체도 저연차 공직자 퇴직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에 대구 수성구의회가 최근 저연차 공무원의 공직 적응을 돕기 위한 조례(수성구 저연차 공무원 공직 적응 지원 조례안)를 제정하기도 했다. 저연차 공무원의 공직 생활과 개선 사항 실태조사, 직무배치에 필요한 적성검사와 교육, 심리상담 등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조례는 저연차 공무원 퇴직률이 급증하면서 나타나는 공직 안정성 저하, 인력 부족, 업무 과부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대구시교육청도 5년 미만 저연차 공무원들의 조기 퇴직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조기 퇴직한 지역 저연차 교육 공무원은 15명이다. 올해 상반기에도 이미 11명이 조기 퇴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시교육청은 조직·업무 부적응을 조기 퇴직의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저연차 지방공무원 공직 적응 및 성장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공직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강화, 맞춤형 인사상담과 심리적·정서적 지원, 저연차 우수공무원 포상 확대 등에 나설 방침이다.

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임금 등의 처우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 한 공무원은 9일 “공무원 연금 제도에서 비롯된 저임금 구조, 악성 민원 급증 등이 젊은 공무원들을 떠나게 하는 주요 요인”이라며 “이 부분이 바뀌지 않으면 유의미한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