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 ‘엄마·어머니·어머님’ ‘아빠·아버지’ 등 가족 관련 명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2013~2020년 전체 자살 사망 10만2538건을 대상으로 자녀, 부모, 배우자 등을 살해한 뒤 자살한 사망자와 그 외 자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한 보고서 ‘유서 분석을 통한 살해 후 자살의 특성 연구’를 최근 공개했다.
보고서에서 재단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인지과학과 연구팀은 ‘살해 후 자살’ 사망자 유서 215건,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 3만7735건 가운데 각각 209건, 418건을 추출해 자연어 처리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살해 후 자살 사망자 유서에선 전체 7015개의 명사 중 ‘엄마·어머니·어머님’이 246회(3.5%)로 가장 많았고, ‘아빠·아버지’가 149회(2.1%)로 뒤를 이었다.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에선 총 1만3673개의 명사가 확인됐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엄마·어머니·어머님’(522회·3.8%)과 ‘아빠·아버지’(414회·3.0%)가 가장 많이 등장했다. 이는 본인의 엄마나 아빠를 향한 메시지나 자신을 엄마나 아빠로 지칭한 표현 등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일반 자살자의 유서에는 엄마·아빠 외에 ‘사람’(1.7%) ‘아들’(1.6%) ‘말’(1.6%) ‘가족’(1.2%) 등이 자주 나왔다.
반면 살해 후 자살 사망자의 유서엔 ‘돈’(1.7%)이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에서는 1.2%에 그쳤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