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4000 달러를 돌파하며 최고치를 다시 한번 갈아치웠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과 프랑스 정치 위기 등으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을 선호하고 있는 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추가로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까지 겹치면서 금값을 밀어올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8일(현지시간) AFP와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 가격은 장중 한 때 사상 최고치인 트로이온스(31.1034768g)당 4000.96 달러를 기록했다.
12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 가격도 트로이온스 당 4020.00달러로 0.4%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4000 달러를 돌파했다.
금값을 올해 들어 사상 최고가 기록을 수시로 갈아치우며 52% 상승했다. 은 역시 연초 대비 60% 오른 트로이 온스당 48 달러대에서 거래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비롯한 글로벌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가 급증한 게 금값 상승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에 더해 연준의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 미 연방 정부 셧다운 사태, 프랑스 ‘정국 불안’ 등도 투자자들로 하여금 금을 사도록 부추기고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경우 지난달에도 금 매입을 이어가며 11개월 연속 순매수세를 기록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스위스 기반 글로벌 금융기업인 UBS 지오바니 스타우노보 애널리스트는 AP에 포트폴리오(투자 목록) 쏠림을 경계하며 “금 변동성이 10∼15%에 달한다는 점을 투자자들은 인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