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절반 이상은 부모 세대보다 현재 자신의 생활 수준이 나아졌다고 보면서도, 미래 자녀의 생활 수준이 지금보다 좋아질 것이라는 데에는 회의적이었다. 10명 중 4명만 자녀 세대 생활 수준이 지금보다 나아질 것으로 봤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설문조사를 발표했다. 지난해 국내 20~49세 성인 2500명을 대상으로 인구 변화 및 사회에 대한 인식을 설문한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는 부모 세대와 비교했을 때 현재 생활 수준의 변화에 대해 절반 이상이 긍정 답변을 내놨다. ‘약간 좋아졌다’는 26.5%. ‘훨씬 좋아졌다’는 34.6%를 기록해 전체 응답자의 61.1%에 달했다.
부모 세대 대비 생활 수준이 ‘약간 나빠졌다’(10.4%)거나 ‘훨씬 나빠졌다’(8.3%)는 부정적인 답변은 18.7%에 그쳤다.
반면 본인과 비교해 앞으로 자녀들의 생활 수준이 어떻게 변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자녀들의 생활 수준이 ‘훨씬 좋아질 것’(14.1%) 또는 ‘약간 좋아질 것’(28.2%)으로 예상한 응답이 42.3%로 절반에 못 미쳤다.
응답자의 28.8%는 지금과 비교해 ‘차이가 거의 없을 것’으로 봤다. 지금보다 ‘약간 나빠질 것’(17.4%) ‘훨씬 나빠질 것’(11.5%) 등 안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도 28.9%에 달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