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3일 압수물 분석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대전경찰청 국정자원 화재 전담수사팀은 국정자원 및 관련 업체 3곳 등 4개소를 압수수색해 확보한 사업계획서, 배터리 로그 기록 등 9상자 분량의 자료와 PC 등을 분석한다. 경찰은 주 전원 차단 이후 부속 전원 조치 여부, 배터리 잔류 전류로 인한 발화 가능성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계획이다. 보존 중인 화재 현장은 추석 연휴에도 필요시 추가 감식을 벌일 방침이다.
이번 화재로 국정자원 관계자 1명과 배터리 이전 공사 현장 업체 2명, 감리업체 1명 등 4명이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됐다. 참고인 조사도 현장 책임자와 작업자 등 1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최초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배터리팩 6개는 감정에 들어간 상태다.
앞서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배터리 분리 시 충전율이) 80% 정도 됐었다고 한다”며 가이드라인(30% 이하)을 초과했음을 인정했다. 화재는 5층 전산실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해 지하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지난달 26일 오후 8시16분쯤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불이 나 서버가 불타면서 정부 전산시스템 647개가 마비됐다. 발생 8일째인 이날 기준 복구율은 17%대로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이찬희 기자 becom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