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4주째 이어지고 있다.
대단지와 역세권 등 선호 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지면서 전체적으로 가격이 올랐다.
마포구와 성동구, 광진구 등 이른바 ‘한강 벨트’ 오름폭이 확대되는 게 전체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 광진구 주간 상승률은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추석 명절 후 이들 지역에 대한 규제지역 지정 등 수요 억제책을 추가로 꺼내들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다섯째 주(9월 2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7% 상승해 0.08% 포인트 상승폭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6·27 대출규제 시행 이후 상승폭 축소 흐름을 이어가다가 9월 둘째 주(9월8일 기준)부터 줄곧 확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상승률은 9월 1일 0.08%에서 9월 8일 0.09%로 커진 데 이어 15일 0.12%, 22일 0.19%, 29일에는 0.27%를 기록했다.
강북 한강 벨트 대표 권역인 마포구와 성동구, 광진구 상승폭 확대가 두드러졌다.
광진구 주간 상승률은 0.65%였는데,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직전 주(0.35%)와 비교하면 상승폭이 0.3% 포인트 커졌다.
성동구(0.78%) 역시 직전 주 대비 오름폭이 0.19% 포인트 확대됐으며, 마포구(0.69%)도 상승률을 0.26% 포인트 올랐다.
이밖에 송파구(0.35%→0.49%), 강동구(0.31%→0.49%), 중구(0.27%→0.40%), 동대문구(0.15%→0.25%), 양천구(0.28%→0.39%), 동작구(0.20%→0.30%) 등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상승폭이 확대됐다.
부동산원은 이와 관련해 “가격 상승 기대감이 있는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역세권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거래가 포착되는 등 서울 전체적으로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마포구, 성동구, 광진구 등이 규제지역으로 추가 지정될 가능성이 커지니 이번이 마지막 갭투자 기회라고 여긴 이들의 선취매수 수요가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추석 이후에도 추가 규제가 없으면 오름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수도권 전체로는 0.12% 올라 상승률이 직전 주 대비 0.05% 포인트 늘었다. 경기도(0.07%)는 오름폭이 0.03%포인트 커졌고, 인천(0.00%)은 가격이 보합을 유지했다.
경기도에선 성남 분당구(0.97%)가 직전 주 대비 상승폭을 0.33% 포인트 확대했다. 과천(0.54%)도 같은 기간 오름폭이 0.31%포인트 커졌다.
지방(-0.01%→0.00%) 매매가격은 보합으로 돌아섰다. 5대 광역시(-0.02%→-0.01%)는 하락폭이 소폭 축소됐고 8개 도(0.00%)는 보합을 유지했다.
전국 평균 매매가격은 0.06% 올라 직전 주(0.03%) 대비 상승폭이 0.03% 포인트 확대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직전 주 대비 0.06% 오르며 상승폭이 0.02% 포인트 커졌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