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승차권 불법 거래 및 부당 선점 예방을 목표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최신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 정책 개선에 나섰다.
먼저 매크로 차단 프로그램을 통해 승차권 부당 선점 행위를 원천 차단했다. 특정 작업을 자동으로 반복 입력하는 매크로 프로그램은 일반 승객의 예매 기회를 빼앗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코레일은 지난 7월 ‘매크로 탐지 솔루션’을 도입했다. 사용자의 접속 패턴, 구매 행태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매크로 이용자로 의심되면 로그인뿐 아니라 승차권 조회까지 사전 차단된다.
매크로 탐지 솔루션을 도입한 이후 하루 평균 1만6000여건의 매크로 공격이 차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부터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승차권 다량 구매 취소 모니터링’을 시행 중이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모든 예매·취소 이력을 분석한다. 모니터링에서 상습적으로 승차권을 구매한 뒤 취소하는 행위가 적발되면 결제에 사용된 신용카드는 1년 동안 승차권 결제가 제한된다.
제재가 시작된 이후 3월 기준 하루 평균 75건에 달하던 다량 구매 취소 건수는 점차 줄어 지난달 0.8건 수준까지 급감했다. 500만원 이상 구매 후 취소하는 사례는 8월 이후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위약금 기준을 강화하는 등 정책적인 부분도 개선했다. 주말 승차권 환불 위약금 기준을 강화해 조기 환불을 유도하자 필요한 사람이 제때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정책이 시행되면서 취소 후 다시 판매되는 주말 좌석 수가 하루 평균 3254석 늘었다. 955석인 KTX 열차를 3.4회 추가 운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다.
특히 출발 이틀 전 조기 환불 비율은 44.9%에서 50.3%로 5.4%p 증가했고, 환불 후 재판매되지 않는 노쇼 비율은 4.1%에서 3.6%로 0.5%p 감소해 좌석 운영의 효율성이 높아졌다.
이달부터는 부정승차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승차권 미소지자에 대한 부가 운임을 기준 운임의 1배로 상향했다. 기존에는 승차권 미소지 시 부가 운임을 기준 운임의 0.5배까지 부과했지만 이제는 기준 운임의 1배를 내야 한다.
일례로 서울~부산 구간 승차권 미소지 승객은 기존에 8만9700원(운임 5만9800원+부가운임 2만9900원)을 냈던 반면 이달부터는 부가운임이 1배인 5만9800원으로 늘어 총 11만9600원이 부과된다.
이민성 코레일 고객마케팅단장은 “빅데이터 분석, 매크로 차단 기술 도입과 같은 디지털 전환 노력과 정책 개선을 통해 공정하고 올바른 철도 이용 문화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