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647개 장애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중 101개 복구”

입력 2025-10-01 15:09 수정 2025-10-01 17:01
정부가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서비스 복구작업에 나선 가운데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던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가운데 1등급 업무 21개를 포함한 101개가 복구된 것으로 파악됐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소된)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이전을 위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업체가 선정돼 장비 입고를 개시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선정된 업체는 NHN클라우드로 전해졌다.

정부에 따르면 장애 엿재째 복구율은 15.6%에 이른다. 그러나 복구된 정보시스템 중에도 장애가 다시 발생하는 경우가 나오고 있다. 교육부 등 일부 중앙부처는 이날 오후 공직자통합메일 접속이 불안정해 메일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알렸다.

무엇보다 공무원들의 보고서 작성 등 업무 자료를 보관하는 G드라이브가 완전히 소실돼 복구가 어려운 상황이다. G드라이브는 5층 7-1 전산실에 있어 피해가 컸다.

임정규 행안부 공공서비스국장은 “결재 및 보고와 관련된 자료는 G드라이브뿐만 아니라 온나라시스템에도 같이 저장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정부의 최종 보고서나 자료는 모두 보관돼 있다”면서도 “인사혁신처만 유일하게 G드라이브에만 자료를 보관하고 있어 복구 상황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민 국정자원 운영기획관은 복구 속도가 느리다는 지적에 대해 “정체기가 맞다”면서도 “클라우드존별 인프라가 구축되면 서비스 복구에 속도가 확 붙을 수 있다”고 했다. 아울러 클라우드존 구성에 따라 빠르면 오는 4일부터 꾸준히 서비스가 복구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산 시스템 장애에 따라 110·120 콜센터를 통해 민원상담이 들어오고 있고,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과 같이 일상과 관련된 시스템의 복구 시점에 대한 문의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 등이 정상화하면서 민원 상담은 줄어드는 상황이다.

이번 전산망 장애로 우체국 쇼핑몰에 입점한 소상공인의 피해액이 126억원에 달하는 등 피해가 막대한 만큼 여러 지원책이 가동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추석 성수기에 영업을 못 하게 된 우체국 쇼핑몰 입점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33억원어치 물품을 직접 구매한다. 정상 가동 이후에도 한 달간 판매 수수료를 면제해 매출 회복을 돕기로 했다.

중소기업벤처부는 해당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2400여개 업체에 대해 민간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지원한다. 업체당 200만원의 쿠폰도 지급한다.

조세심판원은 장애가 해소된 날부터 14일 이내에 제기되는 심판 청구는 기한 내 청구한 것으로 인정하는 연장 조치를 시행한다.

김 차관은 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보안공백 우려에 대해 “국가정보통신망의 보안장비는 가동 중이었고, 대전센터 통신망의 보안장비는 일시 중단했으나 시스템 가동 전 통신과 보안장비를 먼저 가동한 후 일반시스템을 가동해 보안 공백은 없게 했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