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음주자가 술을 새롭게 마시기 시작하면 가벼운 수준으로 즐기더라도 위암 발생 위험이 14%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은 비음주에서 고용량 음주로 섭취량이 급증할 시 위암 위험이 배 가량 증가해 폭음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소화기내과 최용훈 교수·국립암센터 암진료향상연구과 장지은 박사)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40세 이상 31만192명을 하루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경도(남성 15g·여성 7.5g 미만), 중등도(남성 15~29.9g·여성 7.5~14.9g), 고용량(남성 30g·여성 15g 이상)으로 분류하고 평균 1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공개했다.
소주 한잔(50㎖) 기준으로 약 8~10g의 알코올이 들어 있다. 따라서 경도 알코올 섭취는 남성 하루 소주 1잔 반 가량·여성 1잔 미만, 중등도는 남성 1잔 반~3잔·여성 1잔~1잔 반, 고용량은 남성 3잔·여성 1잔 반 이상 마시는 경우에 해당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현재 알코올 섭취량과 무관하게 음주량 증가는 명백한 위암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금주 혹은 절주는 발병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예를 들어 비음주자가 새롭게 음주를 시작할 시 가벼운 수준으로 즐기더라도 위암 위험이 14% 가량 증가했다. 반대로 중등도의 음주자는 경도 수준으로 줄일 경우 발병 위험이 20% 가량 감소했다.
남녀에 따라 양상은 달랐다. 남성은 음주 유지자보다 비음주자의 위암 발생 위험이 약 10% 낮았고 섭취량을 늘린 집단은 위험도가 약 10% 높아져 음주량 변화와 위암 위험의 연관성이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났다.
반면 여성은 전반적으로 연관성이 낮게 나타났으나 비음주에서 고용량 음주로 섭취량이 급증할 시 위암 위험이 약 배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음주량 변화와 위암 위험의 연관성을 유형별로 구체적으로 밝혀내고 성별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금주·절주 교육 등의 치료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그간 음주와 위암의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들은 주로 절대적인 음주량에 초점을 맞춰온 데 반해, 실질적인 행동 변화에 따른 영향을 장기간 연구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나영 교수는 1일 “음주량의 많고 적음뿐만 아니라 최근의 변화 양상이 위암 위험과 연관이 깊음을 밝힌 연구”라며 “절제 혹은 완전히 금주하는 방향으로 생활습관을 지속 개선해 나가는 것이 위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또 “특히 내시경으로 조기 위암을 제거한 적이 있거나 가족력·흡연 등 고위험 인자를 갖고 있다면 금주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어렵다면 음주량을 최대한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암학회 학술지 ‘암 연구와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최신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