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행정 전산망 마비 사태가 나흘째 이어지면서 부산에서도 민원 서비스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주민등록과 여권 등 일부 서비스는 정상 운영되지만, 증명서 발급이나 복지·보건 관련 온라인 서비스는 줄줄이 멈춰 시민들이 구청과 주민센터를 찾는 등 혼란이 커지고 있다.
29일 부산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 31개 주요 대민 서비스 가운데 정상 운영되는 것은 절반에 불과했다. 부산민원120 온라인 상담, 정보공개포털, 문서24 등은 접수가 전면 중단돼 방문 접수만 가능하다. 정부24도 부동산 연계 업무가 막혀 일부 기능만 정상 작동하고 있다.
가장 불편이 큰 분야는 부동산과 복지 업무다. 세움터(건축행정시스템),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은 모두 온라인 신고와 조회가 제한돼 구·군청과 읍·면·동을 직접 찾아야 한다. 취득세 유상거래 온라인 신고도 불가능하다. 복지로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전국민마음투자 바우처, e하늘 장사정보 시스템도 모두 중단됐다. 예방접종 증명서를 발급하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까지 멈추면서 시민들은 병원이나 보건소를 방문해야 한다.
119 관련 긴급 신고 체계도 일부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영상 신고는 불가능하고, 안심콜 서비스도 중단된 상태다. 소방청 발급 증명서류 역시 이용할 수 없다. 기업과 협력업체의 계약에 쓰이는 나라장터와 하도급지킴이도 전면 중단돼 행정·계약 업무 지연이 불가피하다.
주민등록과 여권, 지방세 등은 비교적 정상 운영되고 있지만 IC·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나 모바일 세금 고지 등 일부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무인민원발급기는 대부분 정상 작동하지만, 모바일 신분증을 통한 본인확인은 불가능하다.
부산시는 민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120콜센터를 중심으로 대체 창구를 안내하고, 현장 접수 인력을 늘려 대응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정부와 실시간으로 복구 상황을 공유하며 시민 불편이 장기화하지 않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민들의 불편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복구가 언제 완료될지 가늠하기 어려운 데다, 온라인 민원에 익숙한 젊은 층뿐 아니라 취약계층까지 현장을 오가야 하는 상황이어서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