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은 29일 “토지거래허가구역 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서울 중구 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주택공급 대책 발표 자리에서 “최근 정부가 발표한 9·7 공급 대책 에는 국토교통부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을 갖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며 “서울시는 향후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면서 시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주택 공급 대책을 통해 각종 인허가 절차 개선을 통해 정비사업 기간을 기존 18년에서 12년으로 최대 6.5년 단축하고. 이를 통해 2031년까지 31만 가구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전체 착공 물량의 63.8%(19만 8000가구)는 수요가 많은 한강벨트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등 주요 지역에 집중된다.
오 시장은 “단기적으로 그런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며 “장기적으로는 서울시의 주택 공급 노력이 부동산 가격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며 “그동안 신규 주택 공급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아 부동산 시장 불안정이 계속됐다”고 강조했다.
김영석 플랫폼전략팀장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