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시내·외 버스 총파업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도에 따르면 시내·외 버스 노조가 9월 30일 오후 열릴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10월 1일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파업이 현실화되면 도내 전체 버스 1만575대 중 약 8437대(80%)가 멈춰서는 대규모 운행 중단 사태가 예상된다.
노조 측은 공공관리제의 임금 인상을 서울시 수준으로 확대할 것과 민영제 노선의 탄력근로제 연장 반대 및 1일 2교대제 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공공관리제와 민영제 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추가 인상도 주장 중이다. 그러나 회사 측은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협상 난항이 이어지고 있다.
도는 조정시한 만료 전까지 노·사 양측을 설득해 합의를 이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파업이 불가피할 경우 도는 시군 및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해 24시간 상황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대체 수송대책으로는 주요 지하철역과 거점지역 234곳을 지정해 전세버스와 관용버스 381대를 투입하고, 마을버스 운행 증차·증회를 병행한다. 이와 함께 수도권 전철 및 경전철의 운행을 연장하고, 택시 집중 배차를 통해 출퇴근 시간대의 교통 혼잡을 완화할 계획이다. 또한 경찰청과 협조해 교통경찰을 배치, 혼잡 지역의 교통 난맥을 줄일 방침이다.
파업 상황과 대체교통 안내는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 누리집, G버스 TV, 정류소 안내문, SNS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도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신속한 정보 전달과 홍보를 병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김광덕 도 교통국장은 “노·사 합의를 통해 파업이 실제로 발생하지 않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만약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에도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즉시 가동하겠다”고 강조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