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지난 26일 저녁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주요 정보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 중이라고 28일 밝혔다.
시는 지난 27일 새벽 1시 10부터 상황대책반을 구성해 운영했고 28일 오전 10시 30부터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이어 이날 오후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주재로 관계부서와 구·군이 참여하는 지대본회의를 개최했다.
시와 산하 구·군은 개별 홈페이지를 통해 민원접수 대체 사이트와 민원신청 방법을 안내하고 각 기관 민원실에서는 오프라인(방문, 서신 등)을 통한 민원 접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수기(手記) 접수 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시민들의 불이익이 없도록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수기접수한 민원은 수기접수한 날을 기준으로 민원처리기간을 준수하며 시스템 입력 시에도 소급처리 한다. 즉시처리 민원의 경우 행정여건을 고려해 가급적 즉시 처리하되 부득이 처리가 어려운 경우 민원처리부에 등록해 순차적으로 처리하도록 했다. 또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도래하는 세금 납부, 서류 제출 등은 시스템 정상화 이후로 연장토록 했다.
시는 대면 민원처리가 필요한 경우 행정기관을 방문하기 전 해당 서비스 가능 여부를 전화로 확인하고 일부 서비스는 대체 사이트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므로 시 대표채널(홈페이지, SNS 등)의 공지사항을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시는 이번 사고와 같은 사례가 직접 관리하는 시스템에 발생하지 않도록 자체적인 긴급점검도 실시할 계획이다. 시 주요 시스템에 대한 실시간 감시, 이중화 및 데이터 백업상태 점검을 통해 만약의 사태에 철저히 대비할 방침이다.
대구시교육청 역시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 중이다. 행정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계약과 지출, 복무, 문서 처리 등 핵심 행정업무의 수기 전환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