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합동감식 시작...배터리 반출은 전날 완료

입력 2025-09-28 13:51 수정 2025-09-28 13:56
경찰, 소방, 국과수 등으로 구성된 합동감식반이 28일 오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 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행정정보시스템 마비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의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경찰을 비롯한 관련 기관들이 합동감식에 나섰다.

대전경찰청은 28일 오전 10시30분부터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국정자원 화재현장에 대한 합동감식에 들어갔다.

경찰 8명, 소방 2명, 국과수 5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된 합동감식반은 전날 경찰·소방이 실시한 1차 감식 이후 보다 정확한 화재 원인 확인을 위해 시설 내부를 광범위하게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9시36분쯤 전소된 배터리팩 384개를 서버에서 모두 분리해 밖으로 반출하는 작업을 마쳤다. 열폭주로 추가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배터리들은 현재 국정자원 외부에 설치된 이동식 수조에 담아 보관하고 있다.

경찰은 이 배터리들이 안정화되면 국과수에 감정을 의뢰하겠다는 방침이다. 수조에 담긴 배터리팩은 약 2~3일 정도가 지나면 잔류 전기가 모두 방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재석 대전경찰청 과학수사계장은 “현재 배터리 팩과 관련해 증거물을 확보해서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며 “2~3일 정도가 지나면 잔류 전기가 모두 방출된다고 한다. 배터리가 안정되면 국과수에 감정을 의뢰해서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국정자원 외부 이동수조에 담겨 있는 배터리팩.

대전경찰청은 김용일 형사과장을 팀장으로 20여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구성했다.

수사팀은 향후 무정전·전원 장치(UPS) 리튬이온배터리가 폭발한 이유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는 한편 관리 상의 문제, 안전조치 미비 등에 대해서도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청 관계자는 “팀 구성, 작업 과정 등에 대한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며 “정부서비스 복구가 최우선인 만큼 복구 현황을 확인하면서 사고경위, 화재원인 규명에 필요한 정밀감식 등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불은 지난 26일 오후 8시15분쯤 유성구 화암동에 위치한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해 약 21시간45분만인 27일 오후 6시쯤 모두 꺼졌다.

불이 꺼진 이후에도 전산실 내에 연기 및 열기가 남아 있었고, 철거 과정에서 추가적인 스파크 등으로 화재 재발생 가능성이 있었던 탓에 배터리 반출에 다소 시간이 걸렸다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

이 사고로 작업자 1명이 1도 화상을 입었으며, 7-1 전산실이 대부분 불에 타 내부에 있던 전산장비 740대와 배터리 384대가 전소했다.

행안부는 당시 작업자 13명이 리튬이온배터리 이전 작업을 하다가 배터리 1개에서 불꽃이 튀어 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화재의 여파로 국민신문고·인터넷우체국·정부24 정부 행정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을 중단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551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재가동해 서비스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대전=글·사진 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