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의 지난해 농수산물 판매액이 6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쿠팡은 농축수산물에 대해 네이버 대비 3배가 넘는 수수료를 받아 농가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인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쿠팡 등 6대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개 업체는 지난해 농축수산식품 판매로 8조913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 가운데 쿠팡이 5조8646억원을 기록해 전체의 약 67%를 차지했다.
2위는 SSG닷컴으로 지난해 2조8467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이어 네이버(1287억원)·11번가(447억원)·G마켓(217억원)·옥션(73억원) 순이었다.
점유율이 높은 쿠팡이 높은 수수료율과 긴 정산주기를 고집하고 있어 농가의 어려움이 커진다는 우려가 나온다.
쿠팡은 농축수산식품에 대해 10.6%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정산 주기도 총판매 금액의 70%를 판매 후 15일, 30%를 판매 후 두 달 뒤 지급하고 있다.
반면 네이버의 경우 수수료가 3%, 정산 주기는 3일 이내다.
서 의원은 “농축수산식품 유통 실태를 파악해야 하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시장 집중 현상을 감독해야 하는 공정위 모두 온라인 농축산식품 판매액 점유율을 공식적으로 집계하지 않는다”며 “농수축산물은 신선도가 중요한 만큼 특정 플랫폼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 불리한 운영 조건으로 인해 어려움이 생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