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사태로 국가 전산망 기능이 사실상 마비 상태에 빠지자 민간 플랫폼이 대국민 공지의 대안 창구로 이용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7일 공지에서 다수 행정서비스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고 확인하고 포털사이트 네이버 공지를 통해 국민 행동요령을 안내했다.
정부가 민간 플랫폼을 활용해 정부의 대국민 공지를 전달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네이버 PC와 모바일 사이트 공지사항에 들어가면 최상단에 ‘국가정보관리원 화재 관련 대국민 공지’글이 게시돼 있다.
월간활성이용자(MAU) 4000만명을 넘어선 네이버는 국내 포털 서비스 1위 사업자로 그간에도 국가 재난 상황에서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하는 재난 포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특히 호우 등 상황에서 기상청 특보를 비롯해 시간별 날씨 등 정보를 제공하고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과 연동해 전국의 재난문자 현황 등을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 전산망이 마비 상태에 빠지자 결국 민간 사업자 포털이 대안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정부의 서버 이중화 등 기본적인 재난 대비 시스템 미비를 놓고 비판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3년 전 카카오톡 먹통 사태로 인해 민간 사업자에 대해 다중화 클라우드 서버 구축을 비롯한 강도 높은 대비책 마련이 사실상 강제됐었다. 정작 규제기관인 정부는 손을 놓은 채 마비 상태에 빠진 만큼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는 정부 전산망 마비라는 초유의 사태가 닥친 만큼 필요한 요청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방침이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