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외국에서 수입되는 브랜드 의약품과 대형 트럭, 주방 및 욕실 가구 등에 다음달 1일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품목별 관세율은 의약품 100%, 대형 트럭 25%, 주방 및 욕실 가구 50%, 소파 등 천이나 가죽이 씌워진 가구 30%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관세 부과를 알리는 게시물 3건을 잇따라 올렸다.
트럼프는 의약품과 관련해 “기업이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건설하고 있지’ 않다면 2025년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 또는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약사가 처음 개발한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 의약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건설하고 있다’는 것은 ‘착공’ 그리고/또는 ‘공사 중’을 의미한다”며 “따라서 (공장) 건설이 시작됐다면 이들 업체의 의약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가 제약 부문 관세 부과를 예고한 후 영국 제약회사 GSK와 아스트라제네카, 미국 제약회사 일라이릴리, 존슨앤드존슨 등 거대 제약회사들은 앞 다퉈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는 또 다른 게시물에서는 외국산 대형 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에 따라 피터빌트, 켄워스, 프라이트라이너, 맥 트럭스, 다른 업체들 등 우리의 위대한 대형트럭 제조회사들은 외부 방해의 맹공으로부터 보호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모든 주방 수납장, 욕실 세면대 및 관련 제품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겉면에 천이 씌워진 가구(Upholstered furniture)에 3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는 외국에 의한 미국 유입량이 대규모이고, 국가 안보와 다른 이유로 미국의 제조 과정을 지켜야 한다고 관세 부과 이유를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지난 7월 30일 한·미 양국이 무역협정을 구두로 합의했을 때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반도체·의약품에 대해 “한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더 나쁘게 대우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양국 간 협정이 대미 투자 절차를 놓고 최종 타결에 난항을 겪고 있어 러트닉 장관의 약속이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의약품 수입 중 한국 비중은 2%에 그쳤다. 하지만 한국의 의약품 수출액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8.8%에 달했다.
한국의 주력 대미 수출 품목의 하나인 반도체도 지난 4월 의약품과 동시에 수입 영향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기 때문에 곧 관세가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대형 트럭과 가구류에 대한 관세는 한국 산업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의 대미 화물차 수출은 올해 1∼8월 450만 달러(약 64억원) 정도로 미미하고, 지난해 한국의 대미 가구류 전체 수출 규모는 3000만 달러(약 424억원) 수준이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