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친명(친이재명) 그룹 일원이자 이재명 대통령의 당대표 시절 ‘레드 팀’으로 통했던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여권 일각의 움직임에 쓴소리를 쏟아냈다. 전날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벌어진 김현지 총무비서관의 국정감사 증인 채택 공방을 놓고는 상식적 판단을 주문했고, 법제사법위원회의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의결엔 “급발진”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25일 MBC라디오에 출연해 “30년 동안 국정감사 증인 채택 때 총무비서관이 논란이 됐던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당연직 증인”이라고 밝혔다. 이어 “총무비서관이든 법무비서관이든 정무비서관이든 국민의 대표인 국회에 나와서 공직자로서 자기 입장을 표명하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날 운영위에서는 김 비서관의 증인 채택 여부를 놓고 여야가 맞섰다. 민주당이 강훈실 대통령비서실장 출석으로 충분하다며 김 비서관의 증인 채택에 반대한 반면, 국민의힘은 김 비서관을 불러서는 안 될 이유가 무엇이냐며 반발했다. 김 의원은 “(김 비서관이) 나오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고 국민주권정부가 지켜야 할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법사위에 대해서도 쓴소리가 나왔다. 김 의원은 “(조 대법원장 청문회는) 약간 급발진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라며 “지도부와 상의하면서 진행하고 사전에 준비를 잘 거쳐서 그 필요성에 대한 상호 인식과 동의하에 진행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재판에 대한 대법원의 유죄 취지 파기환송 과정을 두고 국민적 의혹이 인 것은 사실이나, 본질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김 의원은 “조희대 한덕수 정상명 김충식의 4인 회동이 있었다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가지고 청문회를 여는 자체는 적절하지 않다”고 부연했다. 당내에서 해당 의혹을 제기한 서영교·부승찬 의원과 추미애 법사위원장의 추가적 소명이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김 의원은 추 위원장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간 신경전에 대해서도 부정적 평가를 내놨다. 간사 선임 문제를 두고 과도한 갈등을 빚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이게 사실 추 위원장의 3차 대전이다. 1차 대전은 추미애-윤석열, 2차 대전은 추미애-한동훈, 3차 대전이 추미애-나경원의 전쟁인데 결과가 적절하거나 좋았던 게 기억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런 갈등 구도가 집권여당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