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경남 창신중·고등학교 호주선교기념관에서 호주선교사 묘원 및 호주선교기념관 건립에 공이 큰 신성용 창원공원묘원 이사장, 강병도 창신중고등학교 이사장, 이종승 경남성시화운동본부 이사장, 구동태 합성감리교회 원로목사에게 감사패 증정식이 열렸다. 감사패 증정은 데이비드 버크(David Burke) 호주장로교 총회장이 방한해 전달식을 가졌다. 버크 총회장은 호주 선교사들의 헌신과 한국교회의 성장에 대한 깊은 감사를 표했다. 증정식에서는 첫 호주 선교사였던 조지프 헨리 데이비스 선교사를 포함한 내한 선교사 127명 선교사들의 희생과 봉사 정신을 기리고 그들의 발자취를 되새겼다.
호주선교기념관은 1889년부터 부산 경남 지역에 복음을 전하고 교육, 의료, 복지 사업에 헌신했던 127명의 호주 선교사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년 전 건립됐다. 기념관에는 선교사들이 사용했던 유물과 자료, 호주 선교부가 발간한 고도서, 한국 교회사 희귀 자료 등 2400여점의 역사적 자료들이 전시돼 있다. 특히 4층 전시실에는 존 브라운 선교사가 기증한 물품들이 전시돼 있다. 방문객들은 선교사들의 삶과 희생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이들의 숭고한 정신을 통해 다음세대가 선교의 역사와 의미를 깨닫도록 돕고 있다.
호주 선교사들의 헌신 기억하고 기념하는 데에는 강병도 창신중·고등학교 이사장과 신성용 창원공원묘원 이사장의 헌신이 있었다. 강 이사장은 순직 호주 선교사 묘원 성역화 사업의 입안자이자 호주선교기념관 건립의 주역이다. 경남 마산 무학산 공동묘지에 있던 맥피 선교사의 묘지가 강제 철거 위기에 처하자 강 이사장은 이장을 추진하며 호주 선교사 묘원 조성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는 경남 지방에서 순직한 호주 선교사들의 묘소와 비석이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2005년 창신대학교 안에 8명의 기념 비석을 설치하고 제막 예배를 드렸다.
강 이사장은 이를 위해 호주까지 직접 찾아가 자료를 수집하고 현지 한인교회들의 지원을 받아 비석을 완성했다. 묘원이 조성되면서 이 비석은 묘원으로 이전돼 빛을 발하게 됐다. 강 이사장은 호주 선교사 묘원 조성 사업의 총괄 추진위원장을 맡아 장소 결정, 환경 조성, 기념비 내용 및 조각 등 모든 과정에 관여해 아름다운 ‘호주 선교사 묘원’을 만들었다. 2023년 10월 사비를 들여 창신학원 관내에 ‘호주 선교사 기념관’을 건립해 운영하고 있다. 그의 헌신은 호주 선교사들의 발자취를 기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신성용 창원공원묘원 이사장은 호주장로교 총회로부터 자신이 소유한 무덤을 예수님께 내어준 아리마대 요셉 같은 인물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2009년 맥피 선교사 묘소 이장 문제로 창원공원묘원을 찾았던 경남성시화운동본부 관계자들은 신 이사장이 가족묘지로 비워둔 부지를 요청했다. 신 이사장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간곡한 설득 끝에 기도 후 부지 기증을 결정했다. 처음엔 100평만 사용하도록 했으나 공사 시작 후 이 일대 1000여평을 성지로 만들자며 자진해 확장했다. 경남 선교 120주년 기념관 건립 시 기념관 부지와 인근 광장까지 포함해 3000여평을 조건 없이 기증했다. 이로써 국내 최고의 선교 역사 성지를 만들었다. 신 이사장은 이 모든 시설의 관리를 창원공원묘원이 영구히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그의 헌신적 기증은 호주 선교사 묘원과 기념관이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는 데 결정적인 토대가 됐다.
창신중·고등학교는 호주 선교사들의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된 학교다. 1908년 개교 이래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교육을 실천하며 수많은 인재를 양성해왔다. 호주선교기념관이 교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은 학교가 선교사들의 헌신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학교는 기념관을 통해 학생들에게 선교 역사를 교육하고 봉사와 희생의 가치를 가르치며 다음세대가 믿음의 유산을 이어받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감사패 증정식에서 데이비드 버크 호주장로교 총회장은 ‘하나님을 기억하는 것의 중요성’과 ‘믿음의 선배들을 기억하는 이유’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들을 잊을 때 다른 신을 찾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며 “하나님을 기억하는 것은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하고 오직 하나님만을 예배하며 신뢰하도록 돕는다”고 역설했다. 또 “믿음의 선배들의 행적을 기억하는 것은 그들의 모범을 따라 믿음의 삶을 살도록 격려하며 앞선 세대들의 신앙의 행적에서 영감을 얻어 우리 시대에 충성스럽게 그리스도를 섬기도록 자신을 헌신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교회가 전 세계에 복음을 전하고 있으며 이 모든 일을 통해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기를 기도했다. 그는 호주 장로교 선교사들이 한국에 복음을 전한 것처럼 이제는 한국교회가 세계에 복음을 전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한국 선교사들의 사역과 세계 선교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이경은 경남성시화운동본부 대표회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강 이사장과 방문객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 대표회장은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지 못하는 것이 인류의 가장 큰 위기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선교 사업과 기념관 건립에 대한 감사를 표하며 이러한 헌신이 자랑스러운 역사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특히 호주 선교사들이 경남을 일깨워준 것에 대한 감사와 선교 사업 공원이 세워지고 선교 기념관이 건립됐음을 언급했다.
구동태 감독(마산합성감리교회)은 답사에서 “다음세대를 위해 헌신하고 기록에 남길 수 있는 일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생각을 마음에 품고 있다”며 “우리도 언젠가 주님이 부르실 때 쓰임 받고 왔다는 말을 할 수 있는 삶이 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이종승 경남성시화운동본부 이사장은 국민일보와 만나 “한국교회가 선교사들의 헌신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해야 한다. 선교사들의 자세, 신앙, 선교 방식, 섬김의 자세로 돌아가야 한다. 다른 방법이 없으며 그것이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창원=글·사진 정홍준 객원기자 jong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