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이전 선제 대응…대전 혁신도시 조성 속도

입력 2025-09-24 13:54 수정 2025-09-24 13:56

대전시가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위한 입주시설을 조성하는 등 혁신도시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지방이전 공공기관 우선 입주시설로 검토 중인 대전역세권 복합2-1구역 개발사업을 올해 안에 착공하고,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의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대전역세권 복합2-1구역 개발사업과 메가충청스퀘어를 합하면 약 6만㎡규모 공간에 1500~2000명이 입주 가능하다. 주변에는 우수한 교통시설과 정주여건을 갖춰 이전 대상 기관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덕구 연축지구에도 공간을 확보 중인 만큼 넓은 업무공간이 필수인 대형 공공기관 이전도 대응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1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당시 타 지자체가 입주 공간 조성에 7년 이상을 소요한 것과 달리 대전은 정부가 이전 대상 공공기관을 확정하면 신속하게 이전을 완료할 수 있을 전망이다.

앞서 대전은 2020년 10월 충남도와 함께 혁신도시로 지정되면서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기반이 마련됐다.

39개 중점 유치대상 공공기관을 선정한 시는 지역 중소기업과 대학, 대덕특구 연구소 등과 협력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관을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입주 공간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바이오헬스 및 나노반도체, 국방 등 전략산업 등과 연계된 기관들을 중점 유치할 예정이다.

또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들을 직접 방문해 입지·교통·정주여건 등 대전혁신도시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한편 업무협약 체결 등으로 지역 간 경쟁이 본격화됐을 때를 대비하기로 했다.

정부와 정치권에는 대전에 이전 공공기관을 우선 배치하는 방안을 요구할 방침이다. 1차 이전 당시 대전이 혁신도시에서 제외돼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았고, 세종시 출범으로 인구 유출 등의 역효과만 있었다는 지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전과 함께 1차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대상에서 제외된 충남과 연계해 정부와 정치권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전재현 대전시 행정자치국장은 “대전은 정부가 이전 대상 공공기관을 확정하면 곧바로 기관이 이전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며 “대전혁신도시가 지역의 새로운 성장 거점이 되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