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을버스 업계가 대중교통 환승할인 손실 보전 문제를 두고 서울시와 갈등을 빚다가 내년 1월 1일부터 환승제도에서 공식 탈퇴하겠다고 선언했다.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22일 오전 영등포구 조합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대중교통 환승통합 합의서 협약 해지’ 공문을 서울시에 발송한다고 밝혔다.
김용석 조합 이사장은 “2004년 7월 1일 서울시가 대중교통 환승정책을 시행하기 전까지 140개 마을버스 업체는 시의 재정지원을 받지 않고 이용객 요금만으로 정상적으로 잘 운영해왔다”며 “그러나 환승제도 시행으로 승객이 지불한 요금 전부를 마을버스 회사가 가져가지 못하고 손해가 발생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마을버스 요금은 1200원이지만, 환승할인으로 인해 마을버스 업체는 승객 1인당 600원만 정산받고 나머지 600원은 손실로 잡힌다”며 “이를 서울시가 100% 보전하지 않아 환승객이 많을수록 마을버스는 손해가 커지는 모순된 구조가 고착화돼 경영난이 악화하고 있다”고 했다.
김 이사장은 “지난 20년 동안 매년 평균 1000억원의 환승손실금이 발생했고 그간 서울시로부터 보전받지 못한 금액은 1조원을 상회한다”면서 “그런데도 시는 오히려 지금보다 더 자주 운행하라고 요구하면서 마을버스 업계를 사지로 몰고 있다”고 주장했다.
마을버스가 환승제에서 탈퇴하면 마을버스 승객은 더는 지하철, 시내버스와의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없고 별도로 마을버스 요금을 내야 한다.
김 이사장은 “상생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는 마지막 호소에 귀 기울여 달라”며 “시민들께는 심려를 끼친 데 사과드리고, 환승제도 탈퇴 이후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날 “시민 불편을 초래하고 마을버스 운수사의 경영을 위협하는 잘못된 선택”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시는 “대시민 교통 서비스 개선과 연계된 합리적 지원체계 개편을 추진하면서 조합과도 협의했으나 일방적인 탈퇴 주장을 제기한 것에 유감을 표한다”며 “조합은 전체 140개 마을버스 회사의 동의를 전제로 환승 탈퇴를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