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급증하는 복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양시는 최근 경기도 출자·출연기관 설립심의위원회에서 시민복지재단 설립 협의를 최종 통과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2023년 행정안전부가 강화한 지방출연기관 설립 기준 이후 도내 첫 사례로 기록됐다.
시는 오는 10월 열리는 제298회 임시회에 조례안을 재상정하고, 예산 편성과 출연 동의안을 거쳐 내년 상반기 출범을 목표로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고양시민복지재단은 합리적 정책 기획, 효율적인 예산 관리, 중복 서비스 조정 등 복지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현재 전국 46개 지자체가 복지재단을 운영 중이며, 수원·성남·파주 등 7개 지자체도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재단을 통해 유연하고 전략적인 대응체계를 마련, 시민 체감도가 낮은 기존 복지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계획이다.
고양시는 현재 사회복지 수요가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다. 올해 6월 말 기준 사회복지대상자는 44만6461명으로, 인구 대비 수급자 비율(41.99%)도 도내 최고다.
노인 인구는 19만1771명(18.1%)으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2028년에는 초고령사회로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은퇴 베이비붐세대의 고령층 편입이 본격화되면서 복지대상은 더욱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시설도 865개로 경기도에서 가장 많지만, 다수는 소규모·영세시설로 서비스 편차가 크다. 이에 따라 시설 역량 강화와 민관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관리 효율성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된다.
복지예산 역시 꾸준히 늘어 2025년에는 1조4658억원으로 확대돼 전체 예산의 43.8%를 차지하게 됐다. 하지만 시민 건강·복지 만족도는 여전히 10점 만점에 5.7점 수준에 머물고 있어 맞춤형 복지 체계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108만 대도시에 걸맞은 합리적인 복지 체계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시민 한 분 한 분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