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을 알리는 추분(秋分)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전히 ‘가을 모기’가 곳곳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상고온 여파로 무더위가 길어져 가을까지 모기가 번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최근 발표에서 지난해 6~8월 여름철에 잡힌 모기(6691마리)보다 9~11월 둘째 주 가을철에 잡힌 모기(9234마리)가 더 많았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매년 4~11월 서울시내 50여 곳에 설치한 유문등(모기를 유인하는 등)에 채집된 모기를 주 1회씩 분석하고 있다.
연구원에 따르면 채집 모기 수는 4월부터 500마리를 넘지 않다가 6월 말~7월 초 800마리 안팎까지 오른 뒤 10월 들어 1000마리를 넘어서는 양상을 보였다. 실제로 지난해 4~11월 둘째 주 사이 모기가 가장 많이 잡힌 주는 10월 다섯째 주(1265마리)였다. 10월 첫째 주(1185마리), 10월 넷째 주(1124마리), 11월 둘째 주(1087마리) 순으로 기록됐다.
이 같은 변화는 2020년쯤부터 두드러진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이전까지는 대부분 매년 7월에 채집량이 가장 많았지만 2020년 이후에는 대부분 10월이나 11월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는 이 같은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달 첫 주 디지털 모기 측정기를 통해 채집된 모기 수는 1만5420마리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1만2265마리)보다 25.7% 급증했다. 둘째 주까지 누적하면 2만9463마리로, 전년 같은 기간(2만5900마리)보다 13.8%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모기가 여름이 아닌 가을에 활동하는 배경에는 기후변화가 있다고 분석했다. 모기는 변온동물로, 26~27도에 왕성하게 활동한다. 그러나 한여름에 이것보다 높은 이상고온 여파가 이어지면서 불볕더위가 한풀 꺾인 이후 다시 출몰한다는 것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