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가속하면서 한꺼번에 10종 이상의 약을 먹는 만성질환자가 170만명을 넘어섰다. 그중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80% 이상이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고혈압, 당뇨병 등을 1개 이상 진단받고 10종류 이상의 약을 60일 이상 복용하는 만성질환자는 171만7239명이었다. 2020년 대비 52.5% 증가한 규모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138만4209명으로 전체의 80.6%를 차지했다.
다제약물 복용자는 2020년 112만5744명에서 2021년 130만282명, 2022년 141만560명, 2023년 154만5840명, 지난해 163만5067명으로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다제약물은 한 환자가 동시에 여러 종류의 약물을 복용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제약물 복용자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데에는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늘면서 만성질환자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다만 우리나라는 다른 주요 나라에 비해서도 많은 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75세 이상 환자 대상 다제병용 처방률(5개 이상의 약물을 90일 또는 4회 이상 처방받은 환자 비율)은 2021년 기준 64.2%로 OECD 평균(50.1%)을 크게 웃돌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22년 기준으로 산출해 ‘주요 OECD 보건통계 해설서 2025’에 담은 평균 44.5%와 비교해도 높다.
한지아 의원은 “노인의 경우 부적절한 약물 복용이 입원과 응급실 방문, 사망 위험 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다제약물 관리를 포함한 지역사회 중심의 노인 건강 관리 모델이 필요하다”며 “약물 오남용 및 중복처방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현행법상 권고사항인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사용도 의무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