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절반이 밀집한 서해안 일원에 친환경 수소산업 벨트를 구축하기로 했다.
도는 18일 제7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에서 보령시와 단국대, 롯데케미칼 등 19개 기관·단체·대학·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서해안 수소산업 벨트 구축을 추진키로 했다.
2030년까지 10조9173억원을 투입해 청정수소 생산 확대,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등 수소 관련 23개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당진·서산·보령·태안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수소 특화단지 등 국가 공모 사업에 중점 대응한다.
또 수소 생산 시설을 확대 구축하고, 보령·당진·서산에 이어 태안을 충남 네 번째 수소도시로 조성한다. 4개 수소도시에는 1490억원을 투입해 수소 생산 시설을 확충하고,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 전주기 기반을 마련한다.
순차적으로 가동이 중단될 석탄화력발전소 대신 수소·암모니아 발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전 공기업에 대한 혼소 발전도 지원한다. 혼소발전은 기존 화석연료 발전소에 수소나 암모니아 등 무탄소 연료를 혼합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발전 기술이다.
도는 또 가스터빈 시험연구센터 구축, 암모니아 수소연료전지 발전 규제자유특구 추진, 액화수소 기술 개발 전문 랩(LAP) 구축 등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수소 인프라 구축에도 행정력을 집중한다.
이날 맺은 협약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 등은 정책·행정·기술적 지원을 하고, 충남테크노파크와 한국수소연합회 등은 수소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정책·기술적으로 협력·지원한다.
대학은 인력 양성과 연구개발(R&D) 추진 협력을 지원하고, 발전 3사는 석탄화력을 수소·암모니아 등 저탄소 발전 설비로 전환하는데 협력한다. 기업도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 서해안 일대는 석탄화력과 제철, 석유화학 등 고탄소 산업이 밀집해 탄소배출량 전국 1위의 오명을 안고 있다”며 “서해안 수소산업 벨트를 적극 조성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