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추진 중인 조직개편에 대해 시민 중심 행정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임을 강조했다.
시는 이번 개편이 백석 빌딩 이전이나 선거용 인사와 무관하며, 변화하는 행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대안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조직개편은 단순한 조직 확대가 아닌 AI 전략담당관 신설 등 현 정부의 행정 방향과 부합하며,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시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고양시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2023년 1차 개편을 시작으로, 2024년 상반기부터 2차 개편을 준비했으나 시의회에서 네 차례 부결됐다.
이로 인해 인력 운영의 불합리가 장기화되고 변화된 법령과 사회적 요구에 대한 대응도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개편안마저 무산될 경우 다섯 번째 부결에 이르게 된다. 시는 대통령령인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도 지방의회가 조직개편안을 신속히 처리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 만큼, 시민 편익을 우선한 책임 있는 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개편안이 일방적으로 마련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시는 반박했다.
올해 ‘2025 조직진단 협의체’를 구성해 시의원, 노동조합, 외부 전문가, 실무 공무원 등 3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총 4회 회의를 열었으며, 기능 재조정과 인력 배분의 적정성 여부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개편안이 확정될 경우, 행정 서비스의 전문성과 효율성이 강화되고 시민 편익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은 민선 8기 정책을 뒷받침하고 새 정부 방향과 발맞춰 시민 중심 행정을 구현하기 위한 현실적인 조치”라며 “정치적 논란보다 행정 편익을 우선해 추진되는 만큼 앞으로도 충분한 설명과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