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족에게 파문당한 인도 사역자, 한국서 ‘희망의 신학’ 찾았다

입력 2025-09-18 08:21 수정 2025-09-18 09:05
아난드 라카 박사과정생이 지난 17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인도에서 기독교인이란 이유로 가족과 함께 “저주받았다”는 비난을 들으면서 친족들에게 파문당했던 아난드 라카(38)는 청년 사역을 하며 신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깊은 질문을 품게 됐다. 그는 자신이 겪었던 일과 같은 뿌리깊은 인도의 구조적 차별에 대한 신학적 해답을 찾고자 한국행을 결심했다.

필리핀 출신의 연구자 조이 비고르니아(39)는 삶을 위해 전공인 철학을 포기하고 경영학 박사 학위를 얻어 중국 대학 강단에 서 온 교수였다. 전 세계를 멈춘 코로나19 팬데믹은 그에게 안락한 삶을 성찰하게 하는 계기가 됐다. 그는 지식을 가르치는 일을 넘어, 식민주의 역사 속에서 목소리를 잃은 고국 여성들의 아픔을 연구하기 위해 종교철학으로 돌아가는 소명을 택했다.

필리핀 출신 비고르니아 조이 박사과정생이 지난 17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각기 다른 배경과 질문을 품은 아난드와 조이는 지난 17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GIT) 설립 10주년 기념식에서 국민일보와 만나 인터뷰를 하면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신학적 발전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정말 소중하다고 말했다. 아난드는 “한국은 아름다운 나라이며, 장학금과 같은 지원이 없었다면 이곳에 올 기회가 없었을 것”이라고, 조이는 “한국 교회 공동체 안에서 이방인이 아닌 진정한 가족의 일원으로 느끼게 해주는 사랑과 보살핌을 받았다”고 말했다.

‘선교 빚’ 갚는 10년… 자유로운 질문 오가는 ‘안전한 공간’

이날 오후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 언더우드기념도서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기념식은 초기 선교사들의 정신을 계승해 세계 기독교 리더를 양성한다는 GIT의 설립 목표를 재확인하는 자리였다. 지난 10년간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비롯한 32개국 출신 학생들에게 전액 장학금을 지원하며 80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성과가 공유됐다. 축사에 나선 김정석 기독교대한감리회 감독회장은 “아프리카 출신 GIT 졸업생이 영국과 미국 대학 강단에 서는 것을 직접 봤는데, 이것이 바로 GIT가 만든 기적”이라고 말했다.

연세대 GIT 1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교수, 학생, 교계 관계자들의 단체사진


아난드와 조이는 GIT만의 특별한 학풍이 자신들의 배움을 더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다고 말했다. 아난드는 “GIT에서는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전혀 다른 문화권에서 온 동료들과 토론하며 나의 신학적 지평이 크게 확장되는 것을 경험했다”며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배우는 과정 자체가 여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훌륭한 배움의 장”이라고 말했다. 조이도 “GIT는 ‘당신은 정말 기독교인이 맞는가’라는 의심을 살 수 있는 불편한 질문조차 자유롭게 던질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이라며 “교수들은 생각을 통제하는 대신, 모든 관점을 나누며 함께 배우는 환경을 만들어줬다”고 덧붙였다.

기후 위기와 식민주의… 아시아 현장에서 신학을 재구성하다

GIT에서 신학 연구를 심화시키며 아난드의 관심은 ‘기후 정의’로 확장됐다. 그는 ‘창조 세계를 돌보는 책임’이라는 기독교의 전통적인 가르침을 인도의 구체적인 현실과 연결한다. 그는 “인도에서는 물 부족과 같은 기후 위기의 피해가 가장 취약한 계층인 여성에게 집중된다”며 “신앙은 바로 이처럼 불평등한 사회 구조의 문제에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연구는 기독교 신앙이 개인의 구원을 넘어, 어떻게 사회적 약자와 함께하며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 방향을 모색한다.

다양한 국적의 GIT 재학생들이 무대에 올라 특별 찬양 'We've come this far by Faith(믿음으로 여기까지 왔네)'를 부르고 있다.

종교철학을 전공하는 조이는 자신이 속한 필리핀 원주민 공동체의 삶 속에서 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있다. 그는 여성들이 함께 밭을 일구는 공동 노동과 대화 속에서 드러나는 신앙적 가치와 지혜에 주목한다. 그는 “여성들이 땅을 일구는 행위 자체가 땅을 창조한 신과의 신성한 관계를 맺는 일”이라며, 거대 담론이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언어로 신앙을 재발견하고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의 연구는 서구 신학의 틀에 갇히지 않고, 각 문화의 고유한 경험 속에서 어떻게 신앙이 뿌리내리고 표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도다.

다양한 목소리로 채워진 10주년의 약속

10주년 기념식은 지난 세월을 돌아보고 미래를 기약하는 자리였다. 손달익 서울교회 원로목사는 “과거 세계 교회의 도움을 받았던 한국교회가 이제 그 빚을 갚고 있다”고 GIT 10주년을 축하했고, 대니엘 안 교수는 특별 강연을 통해 십자가가 로마의 사형틀에서 출발해 아시아 문화와 결합하며 ‘생명나무’와 ‘연꽃’ 등으로 변모해 온 역사를 설명했다.

대니엘 안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교수가 '아시아의 십자가'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하고 있다. 안 교수는 십자가가 아시아 문화와 만나 변모해 온 역사를 설명했다.

김현숙 연합신학대학원장은 환영사에서 “GIT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세계를 잇는 희망의 공동체가 되었다”고 지난 10년을 평가했다. 다양한 국적의 GIT 학생들이 무대에 올라 ‘We've come this far by Faith(믿음으로 여기까지 왔네)’를 합창하면서 지난 여정을 자축했다.

인천(송도)=글·사진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