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 인근의 숙박업소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숙박요금을 최대 16배 인상하는 등 폭리를 취해 논란이다.
18일 숙박앱을 통해 확인한 결과, 경주 시내에 자리 잡은 대다수 숙박업소는 APEC 행사가 열리는 다음 달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요금을 크게 인상했다. A업소는 현재 평일 기준 5만원인 숙박 요금을 이 기간에는 34만원까지 올렸다. B업소는4만3000원에서 64만원으로, C업소는 4만2000원에서 30만원으로 각각 인상했다.
이 같은 가격 인상에도 이미 대다수 숙박업소는 예약이 완료됐다. 이 때문에 APEC 기간에 경주를 방문하고자 하는 관광객이나 다른 지역 주민은 어쩔 수 없이 비싼 요금을 내거나 경주 외곽에 있는 숙소를 잡아야 하는 상황이 됐다.
급등한 숙박 요금에 바가지 요금 논란이 일자 경주시는 지난 16일 지역 숙박업소들에 협조를 요청하는 편지를 발송했다. 주낙영 경주시장 명의로 발송된 편지에는 숙박업계에 안전한 숙박환경 제공, 합리적인 요금 유지, 친절한 서비스 제공 등을 당부하는 내용이 담겼다. 주 시장은 “APEC 정상회의는 경주가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할 중요한 기회”라며 “숙박업소 관계자들의 협조와 시민의 환대가 성공적인 회의 개최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추석 명절을 앞두고 계속되는 바가지 요금 논란에 정부는 대대적인 단속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이달 17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를 ‘추석 물가 안정관리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관련 단속과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일 국무회의에서 지역 관광을 저해하는 바가지 요금에 대한 철저한 단속을 요구한 바 있다.
관광지 등에서의 바가지 요금 논란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최근엔 부산 중구 자갈치시장 인근의 유명 횟집이 해삼 한 접시를 7만원에 판매해 논란이 됐다. 올해 초 제주의 왕벚꽃축제에서는 순대 6개가 들어있는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해 비판을 받았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