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노동조합이 17일 첫차부터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공사가 16일부터 비상 운영체제에 들어갔다. 노조는 임금 인상과 인력 확충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고, 공사는 재정 한계를 이유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 양측의 갈등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공사와 노조는 지난 5월부터 13차례 교섭을 이어왔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임금 5.9% 인상 ▲통상임금 재산정에 따른 법정수당 별도 지급 ▲인력 344명 증원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공사는 4000억원이 넘는 누적 적자 속에서도 정부 지침상 허용된 최대 인상률인 3.0%는 제시했지만, 인력 증원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공사는 이날 오후 3시 비상 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운영체제에 돌입했다. 열차 운행 조정과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했으며, 파업이 현실화하더라도 열차 운행률을 평시 대비 78.5% 수준까지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출퇴근 시간대(오전 7시30분~8시50분, 오후 5시30분~7시)는 평소와 동일하게 100% 운행하고 나머지 시간대는 1~3호선 운행률을 최대 51.5%까지 줄인다. 무인경전철 4호선은 시간대와 관계없이 정상 운행된다.
이병진 공사 사장은 “시민들의 일상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마지막까지 협의에 성실히 임하겠다”며 “만약 협상이 결렬돼 파업이 진행되더라도 출퇴근 시간은 정상 운행하므로 시민들께서는 다른 시간대 운행 정보를 미리 확인해 달라”고 말했다.
공사는 파업 시 안전 운행을 위해 대체 인력 2222명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운전·관제·차량 등 7개 분야 필수 인력 1294명과 자체 인력 525명, 외부 지원 인력 403명을 합친 규모로 현원 대비 45% 수준이다.
한편 부산시는 전날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열고 승용차요일제 해제, 주요 역 택시 집중 배치, 파업 장기화 시 버스 증차 등 시민 불편 최소화 대책을 준비했다. 시는 “노사 모두 조속히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공사와 노조가 임금·인력 문제에서 팽팽히 맞서 있어 협상 타결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