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이 지난해보다 적게 들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배·시금치 등 과일·채소 가격이 하락한 영향이다.
16일 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협회’에 따르면 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은 전통시장 기준 전국 평균 28만4010원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3090원 저렴해진 금액이다.
전통시장 차례상 비용은 대형마트 전국 평균(37만3540원)보다 24% 적었다. 쇠고기, 돼지고기, 대파, 배 등이 대형마트보다 전통시장이 저렴했다. 대형마트는 가공식품 가격이 낮았다.
협회가 조사한 차례상 비용은 지난 10년간 31.5% 상승했다. 코로나19 충격과 이상기상 영향으로 2020~2022년 3년 연속 차례상 비용이 매년 7% 이상 상승하기도 했다. 올해 추석에는 2년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했다.
하락세 전환은 채소와 과일 가격 하락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배 가격은 지난해보다 약 17% 하락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추석이 늦어 성수기를 앞두고 집중 출하가 이뤄져 배 가격이 내렸다. 시금치 또한 늦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기상 여건이 양호해 공급이 안정되며 가격이 하락했다. 무도 지난해보다 올해가 저렴하다.
반면 달걀, 돼지고기, 사과 등의 가격은 상승했다. 사과는 여름철 고온 영향으로 상품성이 높은 ‘대과’가 줄어 제수용 가격이 올랐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가 전통시장 기준 30만2130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는 섬 특성상 물류비가 비싸기 때문으로 보인다. 농수산물 최대 생산지인 전남(26만8880원)과 전남에 인접한 광주(27만1900원)는 비용이 낮았다.
한편 정부는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을 위해 사과와 배를 평소보다 3배 확대 공급할 예정이다. 밤은 4배, 대추는 18배 등 공급을 확대한다. 쌀 가격 안정을 위해 양곡 2만5000t도 추가 공급한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