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도시철도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가동…출퇴근 시간 정상 운행

입력 2025-09-16 09:30
부산시가 15일 시청에서 관계기관과 함께 도시철도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회의를 열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부산교통공사 노조의 파업 예고에 대비해 비상 수송 대책을 마련했다. 노사는 16일 최종 교섭을 앞두고 있으며, 합의에 실패할 경우 17일 첫차부터 파업이 시작될 수 있다.

16일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교통공사 노사는 지난 5월부터 13차례 교섭을 이어왔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지난 9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 조정이 최종 결렬되면서 노조는 합의 불발 시 즉각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시는 지난 15일 시청에서 부산경찰청, 부산교통공사, 양산시 등 관계 기관과 대책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시는 파업 발생 시 필수 유지 인력을 투입해 도시철도 운행률을 평소의 평균 78.5% 수준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운행 계획을 보면 도시철도 1~3호선은 출근 시간(오전 7시30분~8시50분)과 퇴근 시간(오후 5시30분~7시30분)에는 평소와 동일하게 4~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그러나 그 외 시간에는 평소 대비 57% 수준으로 줄어 배차 간격이 최대 17분까지 늘어난다. 4호선은 무인 자동화 운영으로 평소와 동일하게 100% 정상 운행된다.

전체 열차 운행 횟수는 평일 1325회에서 1041회로 줄어든다. 토요일은 1027회(77.5%), 휴일은 801회(60.4%)로 축소돼 휴일 시민 불편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노선별로는 1호선이 평일 354회에서 250회로 104회 줄고, 2호선은 341회에서 239회로 102회 감소한다. 3호선도 320회에서 242회로 78회가 감축된다.

시는 파업 당일부터 승용차요일제를 해제하고, 주요 역 주변에 택시를 집중적으로 배치해 대체 수송력을 확보한다. 장기화할 경우 도시철도와 연계된 시내버스 노선을 증차하고, 시 공무원을 역무 지원에 투입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황현철 시 교통혁신국장은 “도시철도 파업으로 시민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사 모두가 조속히 합의점을 찾길 바란다”며 “시는 비상 수송 대책을 철저히 시행해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