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ATL이 공개한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전기차의 차세대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최근 빠르게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화재 위험성이 적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차도원 책임연구원은 15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CATL은 지난 4월 개최한 행사에서 나트륨이온 배터리 ‘낙스트라’를 선보였다. 2021년 1세대 나트륨이온 배터리를 발표한 데 이어 4년 만에 공개한 2세대 제품이다. 오는 12월 양산이 목표다.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생산 단가가 낮고 열·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화재 위험이 낮다. 영하 40도에서도 충전량 90% 이상을 유지하는 등 저온에서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 것도 장점이다. 주원료인 나트륨의 지각 내 매장량은 리튬의 약 1200배에 달한다. 해수에서도 수급이 가능해 수요가 증가해도 가격 급등 우려와 특정 국가 의존성이 낮다. 반면 리튬은 고순도 정제 기준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65% 이상이 중국에 집중돼 있어 가격과 수급의 변동성이 크다.
전 세계 완성차업체가 배터리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상황에서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강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업계에선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저가형 전기차, 이륜차, 극지형(극지방, 고산지대 등) 차량,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 다양한 시장으로 확장할 가능성에 주목한다. 이 같은 흐름은 과거 중국산 LFP 배터리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빠르게 대체하며 시장 주도권을 확보했던 것과 비슷하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LFP 배터리의 점유율은 2019년 10.4%, 2021년 34.4%, 지난해 52%를 넘기며 빠르게 늘고 있다. 보고서는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가격과 안전성에서 강점을 보이며 LFP처럼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낮아 주행가능 거리가 짧은 편이다. 생산 기반이 제한적이어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에도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차 책임연구원은 “그간의 리튬 중심 배터리 전략의 한계를 고려해 장기적 시장 변화에 선제 대응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가격 경쟁력과 공급망 변동 대응력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이고 균형 있는 관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또 다시 중국 주의보’… 더 싸고 화재위험 적은 전기차 배터리 내놨다
입력 2025-09-16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