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기반으로 한 전국 규모 학술상인 ‘경암상’ 제21회 수상자가 확정됐다.
경암교육문화재단(이사장 진애언)은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특별상 등 4개 부문에서 김유수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허준렬 하버드대 교수, 김호영 서울대 교수, 김상배 MIT 교수를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각 수상자에게는 3억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된다. 시상식은 오는 11월 7일 오후 3시30분 부산 서면 경암 홀에서 열린다.
경암상은 고 경암 송금조 태양그룹 회장이 평생 모은 전 재산을 출연해 2004년 설립한 경암교육문화재단이 2005년부터 매년 시상해 온 권위 있는 학술상이다. 인문·사회,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등 학문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학자를 발굴·예우하며 우리 사회의 학문과 문화 발전을 견인해 왔다. 올해는 상금을 각 부문 3억원으로 증액해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상으로 위상을 강화했다.
자연과학 부문 수상자인 김유수 교수는 단일 분자 수준에서 양자 상태를 계측·제어하는 연구 영역을 개척한 세계적 석학으로 평가받는다. 주사터널링현미경(STM)과 광기술을 결합해 개별 분자의 전자·진동 상태를 규명하고 이를 에너지 변환, 나노 광촉매 등 응용 가능성으로 확장해 기초과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생명과학 부문에서는 허준렬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가 선정됐다. 그는 장내세균이 만든 담즙산 대사물질이 면역조절물질 ‘인터류킨-17’ 생성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나아가 인터류킨이 뇌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을 밝혀 면역학을 신경계 연구로 확장하는 성과를 올렸다. 난치성 질환 예방·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공학 부문 수상자인 김호영 서울대 교수는 계면 유체역학과 연성 물질 물리학 분야 권위자로, 모세관 현상과 젖음 현상 연구를 기초 물리학과 공학 응용으로 발전시켰다. 습도·물 구동형 소프트 로봇을 개발해 차세대 저전력 장치 설계에 이바지했고, 자연 모방 연구를 통해 공학적 혁신을 이끌었다.
특별상은 김상배 MIT 교수가 차지했다. 그는 인간의 움직임을 모방한 생체 로봇 연구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았으며, 전기 구동 시스템 기반의 ‘미니 치타’ 등 로봇 플랫폼을 개발해 산업, 국방, 재난 대응 분야에 폭넓게 이바지했다. 글로벌 로봇공학 커뮤니티 발전에도 앞장서 온 점이 높이 평가됐다.
경암상위원회는 전국 대학 총장·학장과 주요 학회 추천을 받아 접수한 59명의 후보 가운데 두 차례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확정했다.
재단 측은 “세계적 학자들이 수상 명단에 오르며 경암상이 국내를 넘어 국제적 학술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