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오송 지하차도 참사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추모비 건립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 지사는 15일 도의회에서 열린 오송 참사 국정조사 현장조사에서 “유가족들의 상처를 마무리해야한다”며 “유가족들을 위로할 수 있다면 도청에 추모비를 건립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절대로 안전을 중시하겠다는 뜻에서 도청에 추모비 설치를 결정한 것”이라며 “도의원들을 책임지고 설득하겠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어떠한 말로도 유가족들 위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도의적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도의회는 최근 도가 제출한 궁평2지하차도 참사 희생자 추모 조형물 설치 예산 5000만원을 전액 삭감했다. 도의원들은 추모 조형물 설치 필요성에는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설치 장소에 이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이날 궁평2 지하차도 현장 조사를 했다. 의원들은 행복청, 금강청 관계자들로부터 사고 개요를 듣고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된 임시제방 축조와 관련한 각 기관의 책임 소재를 물었다. 지하차도를 비추는 폐쇄회로(CC)TV 상 물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지도 집중 추궁했다.
이 자리에서는 참사 당일 미흡했던 충북도의 재난 보고 체계와 함께 최고 관리책임자인 김 지사에 대한 질책이 쏟아졌다.
더불어민주당 이광희(청주 서원) 의원은 “참사 당일 제방이 터진 공사현장 감리단장 등으로부터 위험 신고 전화가 계속 있었는데 그 내용이 김 지사에게 전달되지 않았다는 게 가장 큰 문제”이라며 “당시 김 지사는 재난 대책 회의를 주재하면서 조처를 할 수 있는 자리에 있었는데 정작 보고가 안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연희(청주 흥덕) 의원도 “행복청 주무관이 도 재난안전과에 네 차례에 걸쳐 위험 신고를 했지만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결국 보고 또는 전파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 지사는 “재난 상황 발생 때 가장 중요시되는 재난안전관리법에 따른 상황 전파 및 보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고 도의적 책임도 느낀다”며 “실질적인 책임 문제는 법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기소 대상에서 김 지사가 빠진 검찰 조사는 봐주기 수사”라며 재수사를 촉구했다.
행안위는 오는 23일 청문회를 열고 25일 결과보고서를 채택할 계획이다.
오송참사는 2023년 7월15일 오전 8시40분께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가 인근 미호강 범람으로 침수되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