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앞두고 다음 달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별도의 임시공휴일 지정 요청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한 정책위의장은 지난 14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은 공휴일 지정과 관련한 요청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 한글날, 주말 등이 이어져 10월 10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최대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하다. 다만 지난달 정부가 “검토한 적 없다”고 언급한 데 이어 여당 또한 요청 의사가 없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임시공휴일 지정은 무산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15일 ‘추석 민생안정대책’ 당정협의에서 민생 물가 안정과 임금 체불 해소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한 정책위의장은 “성수 대목 품목을 집중 관리해서 ‘금액이 많이 안 올랐네’라는 느낌이 드는 상태로 명절을 지날 수 있도록 집중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체불 임금 상태가 청산돼서 명절을 가족, 친척과 기분 좋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여야 민생협의체 가동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한 정책위의장은 “민생경제협의체도 좋지만, (송 원내대표가) 입에 담으면 안 되는 발언을 했는데 아무 일 없던 것처럼 (여야가) 협의하는 건 좀 아니지 않나”라며 “송언석 원내대표의 사과가 먼저”라고 강조했다.
앞서 민생협의체 가동에 제동을 건 ‘막말 논란’은 지난 9일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 중 나왔다. 정 대표가 “노상원 수첩’이 현실로 성공했더라면 이재명 대통령도, 저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하자 국민의힘 의석 쪽에서 “제발 그리됐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민주당은 송 원내대표가 이 같은 발언을 했다고 보고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