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시가 인공지능(AI) 행정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섰다.
파주시는 지난 11일 확대간부회의에서 2026년도 예산 30억9000만원을 투입해 24개 인공지능 활용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는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시민중심 더 큰 파주, 100만 자족도시 도약’을 비전으로 2024년부터 ‘AI 행정도시 추진사업’을 단계적으로 진행해왔다.
2027년까지 총 52억5000만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이 가운데 행정업무 자동화·효율화 분야가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시는 내년 전략 목표로 ▲행정 신뢰성 강화 ▲민간 AI 기반시설 제공 ▲AI 산업 생태계 조성 ▲시민 참여형 AI 서비스 발굴 등 네 가지를 제시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독자 행정 AI 모델(소버린AI) 구축, 중소기업 GPU 인프라 지원, 시민 참여형 AI 정책 아이디어 경진대회 등을 추진한다.
특히 2026년에는 다섯 가지 핵심사업이 우선 착수된다. 국산 거대언어모델을 행정 문서 작성, 민원 응대, 정책 분석 등에 적용하는 ‘독자 AI 체계’ 구축이 대표적이다.
복지 분야에서는 ‘AI 재활 로봇치료 사업’을 도입해 장애인·노인 회복 지원 모델을 선도하고, 안전 분야에서는 수돗물 사용량을 실시간 관리하는 스마트미터링, 전기차 화재·침수 사전 감지 시스템, 실종자 신속 검색 서비스 등을 확대한다. 또 농업·축산업에 AI를 적용해 ‘스마트 축산 도시’ 기반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AI 재난 감시 영상 분석, 메타버스 기반 심리 상담, 도서관 AI 챗봇, 스마트 돌봄 인형 ‘효돌e’, AI 청년 미디어 동아리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도 추진된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인공지능은 특정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시민이 체감해야 할 공공 자산”이라며 “2026년을 전국 최초 AI 행정도시 모델 확립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파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