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빌라 생애최초 매수 비중 역대 최대… 신혼부부·신생아 정책자금 효과

입력 2025-09-14 15:18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올해 전국 아파트 등 집합건물 매매 중 생애최초 매수자 거래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탄핵정국·조기 대선 등 시장 변수와 유주택자에 대한 규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저금리 정책대출 지원 대상인 20~30대 생애최초 구입자를 중심으로 매수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집합건물(아파트·연립·오피스텔 등) 소유권 매매 이전등기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날까지 등기 완료된 올해 1~8월 전국 집합건물(65만9728건) 중 생애최초 매수 비중은 43.2%(28만4698건)에 달했다. 100건 중 43건이 생애 첫 주택 매수인 셈이다.

이는 대법원에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10년 이후 1~8월 기준 역대 최대 비중이다. 전년 동기 42.5%도 넘어섰다. 연간 통계와 비교해도 생애최초 거래 비중은 직전 최고치인 2013년 43.1%를 뛰어넘었다.

올해 부동산 과열의 선두에 섰던 서울은 1~8월 생애 최초 매수 비중이 38%대였다. 2014년 같은 기간의 38.8%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다.

유주택자에는 대출 문턱을 높였지만, 생애 첫 주택 구매자에겐 정부 정책자금 등 혜택을 준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생애 첫 구매자에겐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이나 신혼부부·신생아 대출 등 저금리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이 많다.

또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올해도 1주택자 대상 주택담보대출을 금지하고 있지만, 생애최초 매수자들은 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 전세사기 등으로 연립·다세대(빌라)나 오피스텔 등의 투자 수요가 감소한 것도 생애최초 비중 증가에 영향을 줬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