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종합감사에서 부산시설공단의 인사 원칙 부재, 특정 업체와의 수의계약 남용, 태양광 설비 안전 관리 소홀 등 총 7건의 위법·부당 사례가 드러났다.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지난 4월21일부터 5월13일까지 15일간 진행한 종합감사에서 공단 운영 전반을 점검한 결과 인사·행정 3건, 예산·회계 3건, 안전 1건 등 총 7건의 문제를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감사위는 이 가운데 인사 원칙을 세우지 않고 승진 인사위원회를 형식적으로 운영한 점에 대해 시정 조치를 요구했다. 실제로 공단은 2011년 이후 인력 관리 계획을 한 차례도 수립하지 않았고 승진·전보 기준을 사전에 공개하지 않은 채 인사를 단행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3급 이상 관리자에게 기술 수당을 관행적으로 지급한 문제도 드러났다. 관리직은 실무를 담당하지 않기 때문에 기술 수당을 지급하지 않아야 하지만, 공단은 지난 3년간 45명에게 5억원이 넘는 기술 수당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에 감사위는 보수 규정을 개정해 지급 대상을 명확히 하라고 통보했다.
예산·회계 분야에서는 카드 결제 대행 서비스 계약을 발주 부서가 직접 체결해 계약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적발됐다. 또 특정 업체와 수년간 반복적으로 1인 수의계약을 체결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쳤으며, 관급 자재 물품 선정위원회를 운영하지 않고 특정 제품을 임의로 선정하는 등 내부 통제 부실도 확인됐다.
안전 분야에서는 공단이 관리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아 화재 예방 등 안전 조치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부 시설은 전기 안전 관리자를 선임만 하고 정기 점검이나 안전 장비를 비치하지 않았고, 민간이 설치·운영하는 설비에 대한 지도·감독도 소홀했다.
감사 결과에 따라 시정 2건, 주의 5건, 개선 권고 1건 등 총 10건의 처분이 내려졌으며, 신분상 처분은 주의 20명, 훈계 55명 등 75명에 달했다.
감사 결과에 따라 9건은 시정 요구, 14건은 주의 요구, 3건은 개선 요구, 8건은 통보 조처했다. 또 133명(주의 99명, 훈계 34명)의 신분상 조치와 7290만원의 재정상 조치를 요구했다.
부산시설공단은 1992년 주차관리공단으로 출범해 1998년 시설관리공단으로 확대 개편됐고, 2010년 현재의 명칭으로 기능을 강화했다. 2023년 5월에는 스포원과 통합했다. 현재 4본부, 4실·10처·2원 체계로 정원 1551명 중 1456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도로·터널·교량 등 교통시설과 공원·체육시설, 상가·장사시설, 문화복지시설 등 부산시 주요 기반 시설을 관리·운영하고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