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미국 오라클이 호실적을 기록한 데다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깜짝 하락했으나 애플 등을 위주로 투심이 냉각되면서 온기가 차단됐다.
10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0.42포인트(0.48%) 밀린 4만5490.9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9.43포인트(0.30%) 오른 6532.04, 나스닥종합지수는 6.57포인트(0.03%) 상승한 2만1886.06에 장을 마쳤다.
오라클이 수주 잔고(잔여 이행 의무)가 4550억달러에 이르며 전년 동기 대비 359% 폭증했다고 발표했다. 이미 월가는 오라클의 수주 잔고를 2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치는 그것마저 훨씬 뛰어넘은 것이다.
오라클은 오는 2030 회계연도에 클라우드 인프라 수익이 1440억달러일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2025 회계연도의 103억달러에서 10배 급증한 수치다.
2분기 오라클의 실적 자체는 예상치를 밑돌았으나 증시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메가톤급 실적 전망에 매수세가 몰리면서 주가는 36% 폭등했다. 1992년 이후 하루 최대 상승폭이다. 장중 최대 상승폭은 43.15%였다.
이미 6800억달러 규모인 오라클의 시총도 단번에 9천222억달러까지 불어났고 래리 엘리슨 오라클 공동 창업자는 하루 만에 순자산 가치를 1천억달러 이상 늘리며 세계 최고 부자에 등극했다.
8월 PPI가 예상치를 밑돌며 깜짝 하락한 점도 증시에 활기를 더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8월 PPI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 대비 0.1% 떨어졌다. 시장 전망치 0.3% 상승과 반대 방향이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도 0.1% 하락하며 예상치 0.3% 상승을 크게 밑돌았다.
오라클이 폭등했으나 AI 관련주 이외에 다른 대형 기술주는 혼조세를 보였다.
종목별로는 테슬라가 0.24% 상승했으나 리비안은 0.28% 하락하는 등 전기차는 혼조세를 보였다
반도체주는 오라클 덕분에 엔비디아가 3.85% 급등하는 등 일제히 랠리, 반도체지수는 2.38% 급등, 마감했다.
김영석 플랫폼전략팀장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