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 논의 재개…TK특별지자체 설립 군불

입력 2025-09-10 11:00
대구시청 산격청사 모습. 대구시 제공

대구시와 경북도의 이견으로 중단됐던 대구·경북 통합 논의가 재개될 전망이다. 정부의 국가균형성장 정책인 5극3특(5대 초광역권·3대 특별자치도 육성) 대응을 위해 두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정부 균형 발전 정책 기조에 맞춘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과 발전적 협력관계 강화를 위해 행정협의체를 구성하고 필요시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두 지자체의 협력 강화 의지가 강해 그동안 중단됐던 통합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두 지자체는 민선8기 들어 행정구역을 합쳐 대구경북특별시를 만드는 행정통합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2026년 7월 출범시켜 수도권 집중을 견제하겠다는 목표까지 세웠다. 지난해 10월 대구경북특별시 공동 합의문을 발표하고 시·도민 여론조사와 대구시의회 동의까지 얻는 등 통합에서 앞서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경북도의회 동의가 이뤄지지 않아 사업이 멈췄다. 경북도의회는 통합을 반대하는 경북 북부권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지자체의 입장차와 조기대선에 따른 대구시장 조기 사퇴 등의 상황이 겹치며 통합 논의는 뒤로 밀려났다.
경북도청사 모습. 경북도 제공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새로운 정책 기조에 맞춘 전략이 필요해지자 두 지자체는 ‘대구경북 공동 협력 태스크 포스(TF)’를 구성했다. 대구경북신공항, 대구경북순환철도망, 영일만항, 미래모빌리티, 인공지능(AI)로봇, 이차전지, 바이오 등 지역의 모든 현안을 논의·협력 대상으로 삼았다. 지역 핵심 사업과 난제 등을 풀어가기 위한 지자체간 협력 강화 필요성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에 최근 열린 ‘대구·경북 공동협력 방향 및 전략과제 토론회’에서 대구시와 경북도가 특별지자체 설립 검토 의중을 밝힌 것이다.

특별지자체는 2개 이상 지자체가 광역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공동으로 설치하는 자치단체 법인으로 자치권을 부여받고 중앙부처와 지역발전투자협약 등을 체결할 수 있다. 행정구역 통합보다는 느슨한 통합이지만 행정구역을 합치는 것보다는 절차가 간소해 부담이 적다.

최근 다른 지자체들의 분위기 때문에 대구시와 경북도가 통합 논의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광주시와 전남도가 특별광역연합 설립을 선언하는 등 통합 후발 주자들이 대구·경북을 추월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와 경북이 초광역 교통과 미래전략산업들로 촘촘하게 신경망처럼 연결된다면 하나의 생활권이자 경제권이 돼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할 수 있고 국가의 균형성장도 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