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신규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후보지 선정 과정에서 주민 동의율을 높이기 위해 조직적인 위장전입이 이뤄진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삼거동 예정 부지 주민들이 입지 선정 무효를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 광산구 삼거동 쓰레기 소각장 후보지 인근 주민 등으로 구성된 ‘삼도소각장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9일 오전 광주 서구 치평동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후보지 선정 무효화와 시장의 사과를 촉구했다.
비대위는 “이미 1순위 후보지로 지목된 삼거동 일원은 2차 공모 당시 주민동의 자격 논란으로 공모가 취소됐던 전력이 있는 지역”이라며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애초 해당 부지를 최종 후보지로 염두에 둔 채 공모 형태만 갖춰 절차를 강행했다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위장전입에 광주시 행정이 개입했을 것이라는 합리적 의심을 지울 수 없다”면서 “검찰은 경찰 수사를 토대로 광주시와 광주시 수탁 법인의 범죄 공모 여부에 대해 명명백백히 밝혀줄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초 경찰은 주민등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삼거동 주민 12명을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소각장 후보지 바로 옆에 있는 광주시립요양정신병원 등으로 주소지를 옮긴 뒤 소각장 건설에 동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적발된 이들 중에는 해당 병원 이사장과 병원 관계자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는 소각장 후보지 선정 절차를 잠정 중단하고 검찰 수사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광주시는 2030년 가연성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1일 650톤 규모를 처리할 수 있는 신규 소각장 설치를 추진해 왔다. 지난해 연말 3차 공모 끝에 삼거동 8만3700㎡ 일원이 1순위 후보지로 확정됐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