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에 일본 토요타통상이 2대 주주로 합류하며 양극재 시장 공략을 위한 한·일 기업 간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LG화학은 일본 토요타통상이 구미 양극재 공장(LG-HY BCM)의 지분 25%를 매입했다고 9일 밝혔다. 토요타통상은 토요타그룹의 종합상사로 토요타 자동차의 원자재 조달의 상당 부분을 담당한다. 이번 지분 인수를 계기로 토요타 통상은 구미 양극재 공장에서 생산되는 양극재를 북미 배터리 고객에게 공급할 예정이다.
토요타 통상의 지분 인수로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의 지분 구조는 LG화학 51%, 토요타통상 25%, 화유코발트는 24%로 바뀌었다. 중국 화유코발트의 지분이 24%로 줄어들면서 LG화학은 지난 7월 개편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제한 대상 외국기업(PFE)’ 기준에서 벗어나 세액공제 자격을 유지하게 된다.미국은 중국, 북한, 이란 등의 기업 지분이 25%를 넘으면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새로운 IRA 적용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LG화학의 구미 양극재 공장은 연간 6만6000t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최근에는 전구체를 사용하지 않고 맞춤 설계된 메탈에서 바로 소성해 제품을 만드는 전구체 신공정 양극재(LGPF)를 적용했다. LG화학은 내년 하반기 가동 예정인 미국 테네시 공장, 한국의 청주와 구미, 중국의 우시 등 안정적인 공급망을 기반으로 고객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토요타통상의 지분 참여는 IRA 규제 대응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이뤄낸 전환점”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 제품과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배터리 소재 시장 리더십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