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92.5% “정년 연장 등 계속 고용 필요해”

입력 2025-09-09 10:40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60세 이후에도 일할 수 있는 ‘계속고용제도’에 긍정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도민들은 고령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대를 보였으며, 청년층 채용 기회 위축 등에 대한 우려도 함께 제기했다.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지난 6월 2일부터 8일까지 경기도 거주 만 25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경기도민 정년연장 등 계속고용 인식조사’를 진행했다고 9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2.5%가 정년 이후에도 일할 수 있는 제도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계속고용제도는 정년제를 유지하면서도 일정 조건에 따라 정년 연장, 퇴직 후 재고용 등을 통해 고령 근로자의 일자리를 지속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대효과로는 고령 근로자의 생활 안정(64.0%), 사회적 부양비용 감소(42.6%), 연금 재정 개선(35.0%) 등이 꼽혔으며, 주요 우려는 청년층 신규채용 감소(47.6%), 대기업·공공기관 중심 혜택 집중(35.2%), 기업 인건비 부담 증가(26.3%)였다.

세대별 인식 차이도 뚜렷했다. 20·30대는 사회적 부양비용 절감(3.56·3.71점)과 연금 재정 개선(3.54·3.61점)에 기대를 두는 반면, 40·50대는 고숙련 인력의 노하우 전수(3.68·3.85점), 노동력 부족 해소(3.44·3.59점) 등에서 높은 기대를 보였다.

계속고용 방식에 대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20·30대는 퇴직 후 재고용(20대 35.7%, 30대 33.9%)을 선호하며 유연한 고용 형태를 중시했지만, 40·50대는 정년연장(40대 36.6%, 50대 46.7%)을 더 선호해 안정적 근속을 바라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재고용 제도 도입 시 선정 기준으로는 직무수행능력(71.1%)과 건강상태(36.9%)를 가장 중요하게 꼽았다.

또한 현재 기업에 재직 중인 40대 51.8%, 50대 66.1%는 정년 이후에도 계속 일하고 싶다고 밝혔으며, 희망 근로연령 평균은 67.74세로 조사됐다. 이들은 장기간 근무를 위해 직무능력 향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윤중 경기도일자리재단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높은 계속 고용 시행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과 기대는 물론 청년층과 중소기업의 부담과 우려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계속고용 시행에 있어 청년층의 신규 채용 감소와 승진 제한 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중고령 근로자의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