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경기 김포시장이 영국 런던과 독일 베를린을 방문해 세계적 도시재생 사례를 살피고 이를 김포에 적용할 방안을 모색했다. 그는 특히 사우동 뉴빌리지 사업과 한강 철책 제거 이후 공간 활용에 글로벌 모델을 접목해 김포 도약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김 시장은 지난 3일 대한민국대도시시장협의회 부회장 자격으로 런던시청을 방문해 도시재생 정책과 현황을 확인하고, 주영대한민국대사관 관계자와 도시 교류 및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 킹스크로스와 테이트 모던 등 런던 주요 재생 지역을 둘러보며 지역 실정에 맞는 창의적 벤치마킹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장 안내를 맡은 김정후 런던시티대학 연구소장은 “기업과 시민 참여가 도시재생 성공의 핵심”이라고 설명했고, 김 시장은 “런던 사례를 김포의 사우동 뉴빌리지 사업과 야간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김 시장은 7일 독일 홀츠마크트를 찾아 공터를 문화·예술 중심의 복합공간으로 발전시킨 구조와 기능을 살폈다. 그는 “슈프레강 주변의 도시재생처럼 한강 철책 제거 이후 수변 공간을 생태·문화·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보완해 나가겠다”며 “한강을 보다 자유롭고 편리하게 시민이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포시는 이미 지난해 국토부 뉴빌리지 공모사업에 선정돼 252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 구도심 노후 주거지 정비를 본격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올해 ‘2026년도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에 최종 선정된 한강 철책 철거사업은 시민에게 닫혀 있던 한강을 개방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한강구간 철책 철거는 김 시장이 직접 다방면으로 여러 기관과 협의하면서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사업인 만큼, ‘폐쇄된 접경·군사지역’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한강을 중심으로 한 ‘개방적이고 친화적인 도시’ 확립을 위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포=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